저소득가구 근로소득 최대 감소…중간층 사업소득도 '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분위 근로소득 22.6%↓, 3분기째 '이전소득 > 근로소득'
3분위 사업소득 2003년 이후 두번째 낙폭…자영업 경기불황 영향 올해 3분기 저소득 가구의 근로소득이 통계 작성이 시작된 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소득 기준으로 중간층에 속하는 3분위 가구의 사업소득은 자영업 경기 불황 등 영향으로 낙폭이 크게 확대됐다.
통계청은 23일 이런 내용의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결과'를 발표했다.
◇ 저소득가구 근로소득 부진 계속…고소득 가구 높은 증가세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3분기 1분위 가구(소득 기준 하위 20%)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47만8천900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2.6% 줄었다.
이런 낙폭은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가장 크다.
1분위 근로소득은 올해 1분기 13.3% 감소하며 마이너스로 전환한 뒤 매 분기 낙폭을 키우고 있다.
2분위 근로소득도 1년 전보다 3.2% 줄어들면서 전분기(-2.7%)보다 감소 폭이 더 커졌다.
올해 최저임금이 큰 폭(16.9%)으로 올랐지만 단순노무직을 중심으로 고용 부진이 계속되면서 취약계층의 근로소득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올해 3분기 1분위 가구당 취업 인원은 지난해 0.83명에서 0.69명으로 16.8% 줄었다.
사무직 비율도 8.2%에서 5.1%로 감소했다.
근로소득 감소 영향으로 1·2분위 전체 소득은 각각 7.0%, 0.5% 감소했다.
1·2분위 모두 3분기째 마이너스 행진이다. 반면 생산활동을 하지 않아도 정부나 가족 등이 보조하는 이전소득은 1분위 가구의 경우 19.9% 늘어난 60만4천700원을 기록, 근로소득을 넘어섰다.
1분위 가구의 이전소득이 근로소득보다 많은 상황은 올해 1분기부터 계속되고 있다.
이전소득이 근로소득보다 더 많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지원받은 돈이 직장을 다니면서 번 월급보다 더 많다는 뜻이다.
1분위 가구는 세금이나 사회보장부담금 등 비소비지출 증가 폭(4.8%)이 전분기보다 확대되면서 처분가능소득의 낙폭(-10.1%)은 커졌다.
반면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은 11.3% 늘어난 730만2천300원을 기록해 대조를 이뤘다.
이는 3분기 연속 10%대 증가율이다.
상용직 증가, 임금 상승 등이 주된 원인이라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다만 5분위는 비소비지출이 35.3% 늘면서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전분기(7.0%)보다 둔화한 2.5%로 집계됐다. ◇ 사업소득도 흔들…숙박·음식업 등 자영업 경기 악화 영향
서민층을 중심으로 사업소득도 눈에 띄게 둔화하는 모습이다.
고용 악화에 따른 소비 여력 둔화, 자영업 과당 경쟁 등 구조·경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3분기 가구 당 사업소득은 1년 전보다 1.1%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1분기(0.9%) 이후 6분기 만에 가장 낮다.
사업소득 증가율은 지난해 4분기(8.5%) 이후 올해 1분기 5.7%, 2분기 3.8%를 기록하는 등 최근 급격하게 둔화하는 양상이다.
올해 들어 1분위 가구를 중심으로 나타났던 사업소득의 위축은 점차 중위가구로 확대하는 모습이다.
3분기 3분위 사업소득은 1년 전보다 11.9% 줄어든 87만600원이었다.
2014년 4분기(-12.4%)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고, 2003년 이후 두 번째로 큰 낙폭이다.
사업소득은 올해 1분기 1분위 가구에서만 줄었지만 2·3분기 모두 1∼3분위 가구에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3분위 사업소득 감소세에는 최근 도소매업, 음식·숙박업이 부진한 상황에 더해 올해 추석이 9월로 당겨지면서 영업일수가 줄어든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3분위 사업소득 2003년 이후 두번째 낙폭…자영업 경기불황 영향 올해 3분기 저소득 가구의 근로소득이 통계 작성이 시작된 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소득 기준으로 중간층에 속하는 3분위 가구의 사업소득은 자영업 경기 불황 등 영향으로 낙폭이 크게 확대됐다.
통계청은 23일 이런 내용의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결과'를 발표했다.
◇ 저소득가구 근로소득 부진 계속…고소득 가구 높은 증가세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3분기 1분위 가구(소득 기준 하위 20%)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47만8천900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2.6% 줄었다.
이런 낙폭은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가장 크다.
1분위 근로소득은 올해 1분기 13.3% 감소하며 마이너스로 전환한 뒤 매 분기 낙폭을 키우고 있다.
2분위 근로소득도 1년 전보다 3.2% 줄어들면서 전분기(-2.7%)보다 감소 폭이 더 커졌다.
올해 최저임금이 큰 폭(16.9%)으로 올랐지만 단순노무직을 중심으로 고용 부진이 계속되면서 취약계층의 근로소득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올해 3분기 1분위 가구당 취업 인원은 지난해 0.83명에서 0.69명으로 16.8% 줄었다.
사무직 비율도 8.2%에서 5.1%로 감소했다.
근로소득 감소 영향으로 1·2분위 전체 소득은 각각 7.0%, 0.5% 감소했다.
1·2분위 모두 3분기째 마이너스 행진이다. 반면 생산활동을 하지 않아도 정부나 가족 등이 보조하는 이전소득은 1분위 가구의 경우 19.9% 늘어난 60만4천700원을 기록, 근로소득을 넘어섰다.
1분위 가구의 이전소득이 근로소득보다 많은 상황은 올해 1분기부터 계속되고 있다.
이전소득이 근로소득보다 더 많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지원받은 돈이 직장을 다니면서 번 월급보다 더 많다는 뜻이다.
1분위 가구는 세금이나 사회보장부담금 등 비소비지출 증가 폭(4.8%)이 전분기보다 확대되면서 처분가능소득의 낙폭(-10.1%)은 커졌다.
반면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은 11.3% 늘어난 730만2천300원을 기록해 대조를 이뤘다.
이는 3분기 연속 10%대 증가율이다.
상용직 증가, 임금 상승 등이 주된 원인이라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다만 5분위는 비소비지출이 35.3% 늘면서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전분기(7.0%)보다 둔화한 2.5%로 집계됐다. ◇ 사업소득도 흔들…숙박·음식업 등 자영업 경기 악화 영향
서민층을 중심으로 사업소득도 눈에 띄게 둔화하는 모습이다.
고용 악화에 따른 소비 여력 둔화, 자영업 과당 경쟁 등 구조·경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3분기 가구 당 사업소득은 1년 전보다 1.1%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1분기(0.9%) 이후 6분기 만에 가장 낮다.
사업소득 증가율은 지난해 4분기(8.5%) 이후 올해 1분기 5.7%, 2분기 3.8%를 기록하는 등 최근 급격하게 둔화하는 양상이다.
올해 들어 1분위 가구를 중심으로 나타났던 사업소득의 위축은 점차 중위가구로 확대하는 모습이다.
3분기 3분위 사업소득은 1년 전보다 11.9% 줄어든 87만600원이었다.
2014년 4분기(-12.4%)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고, 2003년 이후 두 번째로 큰 낙폭이다.
사업소득은 올해 1분기 1분위 가구에서만 줄었지만 2·3분기 모두 1∼3분위 가구에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3분위 사업소득 감소세에는 최근 도소매업, 음식·숙박업이 부진한 상황에 더해 올해 추석이 9월로 당겨지면서 영업일수가 줄어든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