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서 평화지지 요청하고 포용국가 설명…무역분쟁 적극대응 메시지도"
아르헨·네덜란드·남아공 정상과 잇따라 회담도…체코서 원전수주 논의
靑 "네덜란드, 유엔 안보리 북한제재위 의장국"
靑 "한미정상회담 여부 아르헨 현지서 결정…트럼프 체류 짧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기간 한미정상회담 개최 여부는 아르헨티나 현지에서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23일 기자들과 만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아르헨티나 체류 시간이 너무 짧아 어려움이 있지만, 양측이 최대한 맞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지난 순방 때 문재인 대통령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면담도 현지에서 시간·장소가 결정됐는데 이번에도 그럴 것 같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달 29일부터 2박 3일간 아르헨티나에 머무른다.

이 관계자는 "회담이 성사되면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기대라든지, 미국 측에서도 그런 과정에서 우리의 역할에 대해 가진 많은 기대를 서로 교환하는 측면에서 아주 좋은 기회가 되리라고 본다"고 언급했다.

앞서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오는 27일부터 다음 달 4일까지 5박 8일 일정으로 체코·아르헨티나·뉴질랜드를 각각 방문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G20 회의에서 '공정가능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주제로 한 회원국 정상 세션에 참석, 한반도 공동번영 비전을 소해하며 비핵화 논의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요청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지속가능개발·기후변화·에너지전환을 주제로 한 세션에서 선도발언도 하며, 한국 정부의 포용국가 비전을 설명한다.

아울러 여성역량 강화, 혁신성장, 취약계층 포옹 등의 정책 노력을 소개하면서 글로벌 무역분쟁에 G20이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할 예정이다.

한편 G20에서 미국과 중국이 무역분쟁 접점을 찾을 것으로 보이느냐는 물음에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단시간 내에 두 나라의 생각이 같아지기는 어렵다.

이런 차이를 고려해 이번 아르헨티나 G20 공동선언문에는 '보호무역주의 배격'이라는 표현 대신 '규범에 기초한 다자무역 질서'라는 용어를 썼다"며 "이 용어에 대해서도 양국 정상이 동의할지, 추가로 협의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전했다.
靑 "한미정상회담 여부 아르헨 현지서 결정…트럼프 체류 짧아"
한편 문 대통령은 이번 순방에서 체코·아르헨티나·네덜란드·남아프리카공화국 정상과 잇따라 회담을 하고 우호 및 실질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안드레이 바비시 체코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원전 수주와 관련한 논의가 이뤄질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우리가 가진 강점을 전달할 충분한 기회라고 생각한다.

가급적 정상회담에서 언급하려 한다"고 말했다.

아르헨티나 마우리시오 마크리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남 차장은 "14년 만에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 간 포괄적 협력 동반자 관계 강화 방안을 협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관계자는 "회담은 12월 1일 조찬 형식으로 열린다.

아르헨티나가 G20 의장국이어서 마크리 대통령이 아주 바쁜데도, 관저로 특별히 초대해 조찬을 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예우의 의미가 있다"며 "조찬회담을 하는 것은 한국 외에는 소수의 정상뿐인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네덜란드 마르크 뤼터 총리와의 정상회담도 같은 날 이뤄지며, 한반도 정세 및 브렉시트 이후 유럽 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다.

이 관계자는 "뤼터 총리는 2월 평창동계올림픽 때 방한해 정상회담을 한 바 있다"며 "네덜란드는 올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 북한제재위원회의 의장국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이뤄지는 남아공 정상회담에 대해서도 "남아공은 내년부터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활동하는 국가"라고 이 관계자는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뉴질랜드를 국빈방문해 무명용사탑 헌화, 팻시 레디 총독 면담 및 오찬, 저신다 아던 총리와 정상회담을 각각 하는 데 이어 동포간담회도 개최한다.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한국 대통령의 뉴질랜드 방문은 9년 만으로, 양국 간 우호협력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방안과 신남방정책과 뉴질랜드 신태평양정책이 시너지효과를 내며 역내 번영·평화에 기여하는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