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도 수도권 '쏠림'…서울·경기 62兆 빨아들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연구원 보고서
충남 25조 유출·서울 40조 유입
돈은 지방서 벌고 거주는 수도권
지역 균형발전 정책 실효성 높여야
충남 25조 유출·서울 40조 유입
돈은 지방서 벌고 거주는 수도권
지역 균형발전 정책 실효성 높여야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소득이 1년에 60조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돈은 지방에서 벌면서 거주는 수도권에서 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고질적인 수도권 쏠림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 균형발전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연구원은 2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지역소득 역외유출의 결정 요인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서울의 ‘순수취 요소소득(외부에서 벌어들인 근로소득과 기업 소득의 합)’은 40조3807억원이었다. 40조원에 이르는 돈이 지방에서 서울로 유입됐다는 뜻이다. 서울 거주자가 충남에 있는 기업에 출퇴근하며 연 5000만원을 번다면 서울은 5000만원 유입, 충남은 5000만원 유출로 잡힌다.
경기도 지방 소득을 많이 빨아들였다. 경기의 소득 유입액은 21조9464억원으로 서울 다음으로 많았다. 서울과 경기를 합치면 유입 규모가 62조3271억원에 이른다.
반면 다른 지방에선 소득 유출 현상이 나타났다. 충남(24조9711억원)의 유출액이 가장 컸고 경북(16조1003억원), 울산(13조6305억원), 경남(12조205억원), 전남(11조5236억원) 등도 10조원 이상의 소득이 빠져나갔다.
수도권 소득 쏠림 현상은 최근 들어서는 다소 완화되고 있다. 수도권 소득 유입액은 2000년 45조5901억원에서 2005년 70조6469억원, 2010년 84조6058억원까지 늘었다. 2011년(85조8281억원) 정점을 찍은 뒤 조금씩 내리막길을 걸어 2016년 62조원 수준으로 줄었다. 하지만 유입액 자체가 큰 데다 2000년과 비교해 17조원 늘어난 것이어서 여전히 수도권 쏠림이 심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직장과 거주지 간 불일치가 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소득 유출이 큰 충남 지역 내 생산소득 증가율은 매년 전국 평균을 웃돈다. 하지만 지방의 주거, 교육, 의료, 복지 등 생활 여건은 상대적으로 열악해 ‘직장은 지방, 주거는 대도시’를 선택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돈은 지방에서 벌어도 소비는 대도시에서 하는 경우가 많아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안 된다는 지적이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
산업연구원은 2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지역소득 역외유출의 결정 요인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서울의 ‘순수취 요소소득(외부에서 벌어들인 근로소득과 기업 소득의 합)’은 40조3807억원이었다. 40조원에 이르는 돈이 지방에서 서울로 유입됐다는 뜻이다. 서울 거주자가 충남에 있는 기업에 출퇴근하며 연 5000만원을 번다면 서울은 5000만원 유입, 충남은 5000만원 유출로 잡힌다.
경기도 지방 소득을 많이 빨아들였다. 경기의 소득 유입액은 21조9464억원으로 서울 다음으로 많았다. 서울과 경기를 합치면 유입 규모가 62조3271억원에 이른다.
반면 다른 지방에선 소득 유출 현상이 나타났다. 충남(24조9711억원)의 유출액이 가장 컸고 경북(16조1003억원), 울산(13조6305억원), 경남(12조205억원), 전남(11조5236억원) 등도 10조원 이상의 소득이 빠져나갔다.
수도권 소득 쏠림 현상은 최근 들어서는 다소 완화되고 있다. 수도권 소득 유입액은 2000년 45조5901억원에서 2005년 70조6469억원, 2010년 84조6058억원까지 늘었다. 2011년(85조8281억원) 정점을 찍은 뒤 조금씩 내리막길을 걸어 2016년 62조원 수준으로 줄었다. 하지만 유입액 자체가 큰 데다 2000년과 비교해 17조원 늘어난 것이어서 여전히 수도권 쏠림이 심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직장과 거주지 간 불일치가 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소득 유출이 큰 충남 지역 내 생산소득 증가율은 매년 전국 평균을 웃돈다. 하지만 지방의 주거, 교육, 의료, 복지 등 생활 여건은 상대적으로 열악해 ‘직장은 지방, 주거는 대도시’를 선택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돈은 지방에서 벌어도 소비는 대도시에서 하는 경우가 많아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안 된다는 지적이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