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썰렁한 과기부 '블록체인 진흥주간'…"왜 산자부처럼 못 싸우나" 쓴소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장+] 썰렁한 과기부 '블록체인 진흥주간'…"왜 산자부처럼 못 싸우나" 쓴소리](https://img.hankyung.com/photo/201811/01.18346394.1.jpg)
컨퍼런스장 곳곳에 빈자리가 보였다. 부대행사로 마련한 채용상담회는 더 심했다. 블록체인 분야에서 이름만 들어도 알 만한 국내 유망기업들이 부스를 차렸지만 한산하기 짝이 없었다. 블록체인 기업 관계자는 “과기부 요청으로 채용상담 용지 500장을 뽑아왔는데 종일 찾아온 건 딱 한 명”이라고 털어놓았다.
정부가 주도한 블록체인 행사가 왜 이처럼 시장과 업계의 외면을 받은 것일까.
라인업은 좋았다. 과기정통부 주최에 블록체인 시범사업 예산 운영을 총괄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이 주관했다. SK텔레콤, LG CNS, KT 등 대기업을 비롯해 블로코 아이콘루프 코인플러그 글로스퍼 등이 후원사로 참여했다. 그동안 민간에서 열린 상당수 블록체인 행사가 인파로 붐볐다. 정부 주최에다 참여업체 면면도 뛰어난 이번 행사가 보다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을 것이란 예상은 빗나갔다.
손쉽게 꼽을 수 있는 흥행 실패의 이유는 가상화폐(암호화폐) 시장 상황. 비트코인 가격은 이달 들어 300만원 가까이 떨어졌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 폭락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추정이다.
![[현장+] 썰렁한 과기부 '블록체인 진흥주간'…"왜 산자부처럼 못 싸우나" 쓴소리](https://img.hankyung.com/photo/201811/01.18346413.1.jpg)
다른 정부부처를 보며 이런 서운함은 더 커졌다. 올해 상반기 삼성전자 반도체공장 작업환경 측정 보고서 공개 여부를 놓고 산업통상자원부와 고용노동부가 맞선 사례가 대표적이다. 당시 산자부는 산업 보호를 이유로 공개하면 안 된다고 했고, 고용부는 노동자 권리 보장을 위해서라도 공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과기정통부가 내놓은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도 뜯어보면 생색내기 수준이란 지적까지 나온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철저히 배제했다. 시범사업에 투입한 예산 역시 100억원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큰 시범사업 분야만 6개라 개별 사업지원은 몇십억원 수준이다. “국가 차원 예산이라기엔 너무 적다”는 게 대체적인 평이다.
과기정통부는 최근 업계 이슈인 암호화폐 공개(ICO) 허용, 관련 가이드라인 마련 등의 논의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때문에 과기정통부가 의지를 갖고 업계 입장을 정확히 전달하기보다는 ‘몸 사리기’에 급급하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