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한은 금통위…1년 만에 기준금리 인상 임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은행이 1년 만의 기준금리 인상을 눈앞에 두고 있다.
한은 금통위는 30일 이주열 총재 주재로 올해 마지막 금리 결정 회의를 개최한다.
29일 현재 금융시장에서는 한은의 금리 인상을 유력하게 본다.
금융투자협회가 16∼21일 106개 기관의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200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9%가 금리 인상을 전망했다.
시장금리도 오름세다.
28일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날보다 1.2bp(1bp=0.01%p) 오른 연 1.920%로 장을 마쳤다.
한은은 지난달 금통위 이래로 계속 인상 신호를 보내왔다. 이번 금리 인상 배경으로는 1천500조원이 넘는 가계부채와 한미 금리 차가 꼽힌다.
가계 빚은 여전히 소득보다 빠르게 늘고 부동산 가격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미국 금리 인상이 계속되며 한미 금리는 이미 올해 3월 역전됐고 폭이 더 확대되는 추세다.
이대로라면 곧 1%포인트가 넘는다.
당장 위험이 닥치는 것은 아니지만 경계감이 고조된다.
금통위원들은 금융안정을 유념하고 있다.
지난달 금통위 회의에서 이미 2명이 금리 인상 의견을 냈다.
저금리 부작용을 손봐야 할 때라는 것이다.
한은은 꼭 1년 전인 작년 11월 금통위 회의에서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6년 5개월 만의 통화정책 방향 전환이었다.
이번 금리 인상은 만장일치 결정이 아닐 것으로 보인다.
조동철 금통위원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동결 소수의견을 낼 것으로 추정된다.
신인석 금통위원은 최근 '비둘기파'로 분류됐지만 이번엔 인상에 동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소 확대된 점이 그 배경이다.
금융시장에서는 내년엔 금리를 움직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
성장 눈높이가 낮아지고 경기가 꺾였다는 진단이 나오는 상황이어서다.
경기 측면에서 보면 이번 금리 인상만으로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고용시장이 냉랭하고 주력산업들이 구조조정에 들어가며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수출은 버티지만 파급효과가 크지 않다.
게다가 미중 무역분쟁과 신흥국 금융 불안 등으로 나라 밖 사정도 우호적이지 않다.
권영선 노무라금융투자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8일 기자간담회에서 한은이 한 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한 뒤 계속 동결하다가 내후년엔 인하할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어려울 때 금리까지 올라가면 고통이 배가된다.
이자 부담이 늘어나면 대출자들은 생활이 팍팍해진다.
그러다가 소비를 줄이면 경기가 더 냉랭해지는 악순환이 생긴다.
취약차주와 한계기업들이 받는 충격은 더 클 수밖에 없다.
이들이 대거 쓰러지며 사회 전체를 뒤흔들지 않도록 정부는 안전망을 펼쳐야 한다.
/연합뉴스
한은 금통위는 30일 이주열 총재 주재로 올해 마지막 금리 결정 회의를 개최한다.
29일 현재 금융시장에서는 한은의 금리 인상을 유력하게 본다.
금융투자협회가 16∼21일 106개 기관의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200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9%가 금리 인상을 전망했다.
시장금리도 오름세다.
28일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날보다 1.2bp(1bp=0.01%p) 오른 연 1.920%로 장을 마쳤다.
한은은 지난달 금통위 이래로 계속 인상 신호를 보내왔다. 이번 금리 인상 배경으로는 1천500조원이 넘는 가계부채와 한미 금리 차가 꼽힌다.
가계 빚은 여전히 소득보다 빠르게 늘고 부동산 가격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미국 금리 인상이 계속되며 한미 금리는 이미 올해 3월 역전됐고 폭이 더 확대되는 추세다.
이대로라면 곧 1%포인트가 넘는다.
당장 위험이 닥치는 것은 아니지만 경계감이 고조된다.
금통위원들은 금융안정을 유념하고 있다.
지난달 금통위 회의에서 이미 2명이 금리 인상 의견을 냈다.
저금리 부작용을 손봐야 할 때라는 것이다.
한은은 꼭 1년 전인 작년 11월 금통위 회의에서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6년 5개월 만의 통화정책 방향 전환이었다.
이번 금리 인상은 만장일치 결정이 아닐 것으로 보인다.
조동철 금통위원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동결 소수의견을 낼 것으로 추정된다.
신인석 금통위원은 최근 '비둘기파'로 분류됐지만 이번엔 인상에 동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소 확대된 점이 그 배경이다.
금융시장에서는 내년엔 금리를 움직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
성장 눈높이가 낮아지고 경기가 꺾였다는 진단이 나오는 상황이어서다.
경기 측면에서 보면 이번 금리 인상만으로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고용시장이 냉랭하고 주력산업들이 구조조정에 들어가며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수출은 버티지만 파급효과가 크지 않다.
게다가 미중 무역분쟁과 신흥국 금융 불안 등으로 나라 밖 사정도 우호적이지 않다.
권영선 노무라금융투자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8일 기자간담회에서 한은이 한 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한 뒤 계속 동결하다가 내후년엔 인하할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어려울 때 금리까지 올라가면 고통이 배가된다.
이자 부담이 늘어나면 대출자들은 생활이 팍팍해진다.
그러다가 소비를 줄이면 경기가 더 냉랭해지는 악순환이 생긴다.
취약차주와 한계기업들이 받는 충격은 더 클 수밖에 없다.
이들이 대거 쓰러지며 사회 전체를 뒤흔들지 않도록 정부는 안전망을 펼쳐야 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