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韓경제, 금리인상 수준 감내 가능…'경기 하강' 판단 좀 더 있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은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 한은 본관에서 이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연 1.7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또한 '경기 하강 국면에 금리를 인상했다'는 질문에 대해 이 총재는 "경기 하강 국면이라는 경기 판단 용어에 대해서는 상당히 조심스러운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내년에 여러 가지 불확실 요인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세계 경기가 둔화하는 국면에 있지만 교역 시장은 크게 위축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일반적이고, 적극적인 재정정책 등을 고려하면 내년에도 2%대 중후반 성장세가 지속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금리 인상이) 내수를 위축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여러 여건을 감안하면 우리 경제가 소폭의 인상은 수용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본다"고 진단했다.
한미 금리차 역전폭이 100bp(1.00%포인트)에 달할 수 있다는 점이 이번 금리 인상에 영향을 미쳤냐는 질문에 대해 이 총재는 "내외금리차 수준에 절대적인 수준은 없다"면서도 "내외금리차 확대는 부담스럽다"고 답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