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정 술렁이게 만든 '광주형 일자리'란 뭘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광주형 일자리'는 임금(연봉 3500만원, 주 44시간 근무)을 줄여 일자리를 늘리는 사회통합형 모델 사업입니다.
2018년 12월 4일 '사실상 타결'됐다는 발표가 광주광역시 측에서 나왔습니다. 민선 6기 윤장현 전 광주시장이 공약으로 '광주형 일자리'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광주형 일자리'는 광주시와 현대차가 합작법인을 만들어 완성차 공장을 설립하는 내용이 핵심입니다. 현대차 합작법인은 2022년까지 빛그린산단 62만8000㎡ 부지에 연간 10만대 규모 완성차 공장을 세우는게 목표입니다. 전체 사업비는 약 7000억원입니다.
광주형 일자리는 단순한 일자리 창출을 넘어 노사민정(勞使民政) 대타협을 통한 노사 파트너십 구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특히 적정임금 실현을 통해 고임금과 저임금으로 양극화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개선이라는 취지에 많은 이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국내 투자를 꺼리던 대기업들이 광주형 일자리가 정착되면 국내 투자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고 광주시는 보고 있습니다.
강종구 한경닷컴 기자 jonggu@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lab@hankyung.com
2018년 12월 4일 '사실상 타결'됐다는 발표가 광주광역시 측에서 나왔습니다. 민선 6기 윤장현 전 광주시장이 공약으로 '광주형 일자리'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광주형 일자리'는 광주시와 현대차가 합작법인을 만들어 완성차 공장을 설립하는 내용이 핵심입니다. 현대차 합작법인은 2022년까지 빛그린산단 62만8000㎡ 부지에 연간 10만대 규모 완성차 공장을 세우는게 목표입니다. 전체 사업비는 약 7000억원입니다.
광주형 일자리는 단순한 일자리 창출을 넘어 노사민정(勞使民政) 대타협을 통한 노사 파트너십 구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특히 적정임금 실현을 통해 고임금과 저임금으로 양극화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개선이라는 취지에 많은 이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국내 투자를 꺼리던 대기업들이 광주형 일자리가 정착되면 국내 투자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고 광주시는 보고 있습니다.
강종구 한경닷컴 기자 jonggu@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la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