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총리 "김정은 답방 관련 플랜1,2 있을 것…시기 합의는 없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낙연 국무총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에 대해 “현재로서는 그 어느쪽의 사인도 감지되지 않고 있다”면서도 “가능성 열어놓고 있기 때문에 플랜1, 플랜2 이런 것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리는 지난 5일 세종정부청사 공관에서 기자단과의 만찬 행사에서 “원래 (김정은의 답방) 시기가 구체적으로 못박힌 합의는 없었다. 가급적 연내 해석을 양해했던 것”이라며 “그대로 이행될 것이냐 아니면 어떻게 될 것이냐 어느 쪽도 아직은 제가 답변드릴 만한 자료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라고 말했다.
이 총리는 지난 10월 30일 대법원의 첫 강제징용 판결 이후 우리 정부의 후속조치에 대해선 “국무조정실, 외교부, 법무부,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유관부처 차관 테스크포스(TF)가 11월 초부터 가동 중”이라며 “제가 직접 주도한 회의도 4번 정도 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껏 물밑에서 하고 있다. 미리 점검해야 될 사안이 생각보다 많다”며 “그런 준비없이 수면 위로 모두 끌어올려서 토론하다가는 문제해결이 훨씬 어려워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기를 못 박을 수는 없지만 분명한 것은 몇가지 사항을 확실하게 점검하고 그 위에서 큰 그림이 그려져야 수면 위로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설명했다.
일본과의 소통에 대해서도 “일본 측에도 비공식으로 설명하고 있다”며 “나한테 휴대전화로 물어보는 일본 지도자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이나 일부 언론은 왜 정부 아무것도 안하냐 하는데 사안을 너무 단순히 보는 것 같다”고 반박했다.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하에서 남북 교류 협력에 대해선 “논란이 생기지 않는 분야부터 해결해 가는 게 현명하고 현실적”이라며 “문화체육 교류, 이산가족 상봉, 특히 군사적 긴장완화 등은 제재하고 무관하다. 그런걸 함으로써 서로 간의 비핵화 또는 평화정착 분위기가 절실하다는 실감을 갖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에게도 필요하지만 북한에게도 상당히 필요한 일이다. 돈이 들어가는 것만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올한해 가장 기억에 남는 일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께서 한 것이지만 평화 분위기를 조성한 것”이라며 “북한이 미사일을 마지막으로 쏜 것이 1년 1주일 가량 됐다. 그런 도발이 없어진 것이 마치 당연한 것이라 보는데 사실 큰 변화”라고 강조했다. 이쉬운 점에 대해선 “서민생활의 어려움이 해결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오히려 가중되고 있다는 점이 아쉽다”며 “소득분배가 개선되지 못하고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문재인정부로서는 대단히 뼈아픈 것”이라고 토로했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이 총리는 지난 5일 세종정부청사 공관에서 기자단과의 만찬 행사에서 “원래 (김정은의 답방) 시기가 구체적으로 못박힌 합의는 없었다. 가급적 연내 해석을 양해했던 것”이라며 “그대로 이행될 것이냐 아니면 어떻게 될 것이냐 어느 쪽도 아직은 제가 답변드릴 만한 자료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라고 말했다.
이 총리는 지난 10월 30일 대법원의 첫 강제징용 판결 이후 우리 정부의 후속조치에 대해선 “국무조정실, 외교부, 법무부,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유관부처 차관 테스크포스(TF)가 11월 초부터 가동 중”이라며 “제가 직접 주도한 회의도 4번 정도 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껏 물밑에서 하고 있다. 미리 점검해야 될 사안이 생각보다 많다”며 “그런 준비없이 수면 위로 모두 끌어올려서 토론하다가는 문제해결이 훨씬 어려워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기를 못 박을 수는 없지만 분명한 것은 몇가지 사항을 확실하게 점검하고 그 위에서 큰 그림이 그려져야 수면 위로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설명했다.
일본과의 소통에 대해서도 “일본 측에도 비공식으로 설명하고 있다”며 “나한테 휴대전화로 물어보는 일본 지도자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이나 일부 언론은 왜 정부 아무것도 안하냐 하는데 사안을 너무 단순히 보는 것 같다”고 반박했다.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하에서 남북 교류 협력에 대해선 “논란이 생기지 않는 분야부터 해결해 가는 게 현명하고 현실적”이라며 “문화체육 교류, 이산가족 상봉, 특히 군사적 긴장완화 등은 제재하고 무관하다. 그런걸 함으로써 서로 간의 비핵화 또는 평화정착 분위기가 절실하다는 실감을 갖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에게도 필요하지만 북한에게도 상당히 필요한 일이다. 돈이 들어가는 것만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올한해 가장 기억에 남는 일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께서 한 것이지만 평화 분위기를 조성한 것”이라며 “북한이 미사일을 마지막으로 쏜 것이 1년 1주일 가량 됐다. 그런 도발이 없어진 것이 마치 당연한 것이라 보는데 사실 큰 변화”라고 강조했다. 이쉬운 점에 대해선 “서민생활의 어려움이 해결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오히려 가중되고 있다는 점이 아쉽다”며 “소득분배가 개선되지 못하고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문재인정부로서는 대단히 뼈아픈 것”이라고 토로했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