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균 "김정은, 답방 시기 정해진 것 없다…연내로 북측과 협의 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7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대해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합의된 대로 가급적이면 연내 답방하는 방향으로 북측과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 "기본적으로 (북한이) 합의대로 이행하겠다는 의지는 분명하지만, 북측에서 구체적 답은 주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가능성을 몇 퍼센트로 보느냐'는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문엔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는 쉽지 않지만, 저희로선 가능성이 있다는 쪽으로 일단 더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답방 시기가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7주기인 12월17일 전후 아니냐' 질문에 대해선 "현재로선 정해진 것이 없다"며 "아직 구체적 일정에 대해 북측에서 그런 부분까지 의사를 밝혀온 부분이 없기 때문에 기다려봐야 할 것 같다"고 답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북미관계와 비핵화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남북 관계에서 굉장히 오래된, 넘지 못한 벽을 뛰어넘는 의미가 있다"며 "북미 관계와 북한 비핵화에 굉장히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성사될 경우 다룰 정상회담 의제에 대해 "일단 일정이 정해져야 그 일정에 맞는 의제도 논의할 수 있다"고 했다.
송영길 민주당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의 평양 방문 시 능라도 5·1 경기장 연설에 상응할만한 김 위원장의 서울 연설 장소로 '국회'를 제안했다. 조 장관도 "취지에 대해선 저도 같은 입장"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 가장 우려되는 부분에 대해 "남쪽 사회에서 여러 의견이 분출될 수 있고, 이런 것들로 남남갈등이 격화될 수 있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일부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 '한국전쟁 등에 대한 사과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도 나왔다. 조 장관은 "전반적으로 여러 국민이 제기하는 의견을 충분히 감안하면서 준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했다.
조 장관은 이날 국회에 향후 5년간의 대북정책 방향을 설정한 '제3차 남북관계발전 기본계획'(2018∼2022년)을 보고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조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 "기본적으로 (북한이) 합의대로 이행하겠다는 의지는 분명하지만, 북측에서 구체적 답은 주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가능성을 몇 퍼센트로 보느냐'는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문엔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는 쉽지 않지만, 저희로선 가능성이 있다는 쪽으로 일단 더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답방 시기가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7주기인 12월17일 전후 아니냐' 질문에 대해선 "현재로선 정해진 것이 없다"며 "아직 구체적 일정에 대해 북측에서 그런 부분까지 의사를 밝혀온 부분이 없기 때문에 기다려봐야 할 것 같다"고 답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북미관계와 비핵화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남북 관계에서 굉장히 오래된, 넘지 못한 벽을 뛰어넘는 의미가 있다"며 "북미 관계와 북한 비핵화에 굉장히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성사될 경우 다룰 정상회담 의제에 대해 "일단 일정이 정해져야 그 일정에 맞는 의제도 논의할 수 있다"고 했다.
송영길 민주당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의 평양 방문 시 능라도 5·1 경기장 연설에 상응할만한 김 위원장의 서울 연설 장소로 '국회'를 제안했다. 조 장관도 "취지에 대해선 저도 같은 입장"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 가장 우려되는 부분에 대해 "남쪽 사회에서 여러 의견이 분출될 수 있고, 이런 것들로 남남갈등이 격화될 수 있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일부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 '한국전쟁 등에 대한 사과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도 나왔다. 조 장관은 "전반적으로 여러 국민이 제기하는 의견을 충분히 감안하면서 준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했다.
조 장관은 이날 국회에 향후 5년간의 대북정책 방향을 설정한 '제3차 남북관계발전 기본계획'(2018∼2022년)을 보고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