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내년 초 가능성 열어뒀던 靑 "재촉 않겠다" 기류 변화 감지
답방 실익 등 두고 北 '장고'…북미정상회담 변수도 고려해야
"모든 가능성 준비"…'연내 답방 여전히 열려 있다' 분석도
'올해 안' → '내년 초'…김정은 답방 시기 무게추 기울었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가운데 답방 시기가 내년 초로 점차 기우는 것 아니냐 하는 흐름이다.

청와대가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가능성을 닫지는 않았지만 북한의 확답이 늦어지는 데 따른 상황 등을 고려하면 사실상 올해 안에 답방이 성사되긴 어렵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힘을 받는 분위기다.

김 위원장의 답방 시점이 해를 넘길 것이라는 관측은 지난 주말을 기점으로 설득력을 얻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애초 오는 17일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7주기이고 12월 말이 북한 내부의 총화(결산) 기간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오는 18∼20일께 답방할 가능성이 커 보였다.

이런 맥락에서 김 위원장의 답방이 연내에 성사되려면 청와대와 정부의 준비기간 등을 고려할 때 적어도 9일까진 북측으로부터 답변이 와야 한다는 게 청와대 내의 주된 견해였다.

남북정상회담 의제 설정 등을 위한 고위급회담, 경호·보도·의전 문제를 논의할 실무회담 등을 고려하면 최소한 답방 준비에 열흘은 필요하다는 것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도 9일 기자들과 만나 "만약의 가능성에 대비해 준비할 수 있는 것은 하겠지만 전혀 예측이 안 되기에 구체적인 준비를 못 하고 있다"며 "저희도 결정되면 어떻게 준비할지 난감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주말을 넘겨 월요일인 10일까지도 북측에서 별다른 답을 내놓지 않으면서 연내 답방 확률을 그만큼 낮게 점치기 시작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회담의 실익 등을 고려한 북한의 결정이 늦어질 것이라는 예상도 이러한 관측과 궤를 같이한다.

북한으로서는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비핵화 조치에 따른 대북제재 완화 등 상응조치 문제를 마무리 짓고 남북정상회담을 하는 것이 여러모로 이익이 될 것이라는 해석이 많았다.

이는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대북제재 완화와 관련해 진전을 이루고 나면 제재로 막혀 있는 본격적인 경협에 숨통을 틀 수 있는 만큼 제4차 남북정상회담에서 더 많은 결실을 볼 수 있으리라는 관측이었다.

이 때문에 이제는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연내에 이루어질지가 아니라 내년 초로 점쳐지는 북미정상회담 전이 될지, 후가 될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이야기까지 나온다.

물론, 김 위원장의 답방 시 남북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의 중재 역할로 북미 간 견해차를 좁히는 효과를 기대할 여지는 있다.

하지만 회담에서 눈에 띌 만한 진전이 없다면 '빈손' 회담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북측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 듯 청와대 내에서도 미묘한 기류 변화가 감지된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전날 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현재로서는 확정된 사실이 없다"면서도 "여러 상황이 고려돼야 하는 만큼 서두르거나 재촉할 의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연내 답방 가능성을 열어놓고 북한의 답변만을 기다려 온 그간의 태도와는 결이 달리 느껴지는 대목이다.

다만, 청와대는 언제든지 북한으로부터 답이 올 여지가 있다고 보고 '연내 답방'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측의 통보 시점에 마감시한이 있는가'라는 물음에 "그런 것은 없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이 기내간담회에서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자체가 세계에 보내는 평화 메시지"라고 말한 만큼 북미정상회담 같은 변수와 관계없이 북한의 확답만 있다면 곧바로 답방을 성사시키기 위한 절차에 착수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읽힌다.

김 대변인은 역시 전날 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서울 정상회담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준비해 왔다"며 "두 정상의 평양공동선언 이행 의지는 분명하고, 구체적 일정과 절차는 계속 논의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