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안 팔린다"…공유 서비스 눈독 들이는 완성차 업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차 제네시스 ‘스펙트럼’ 출시
월 149만원에 차량 골라 타
수입차 미니도 정기구독 상품 내놔
신차 등록대수는 ‘주춤’
카셰어링 업체 성장 거듭
월 149만원에 차량 골라 타
수입차 미니도 정기구독 상품 내놔
신차 등록대수는 ‘주춤’
카셰어링 업체 성장 거듭
주요 완성차 업체가 ‘공유경제’로 눈을 돌리고 있다. 신차 구매 수요가 줄어드는 가운데 새로운 먹거리를 찾기 위해서다.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활용해 사업 영역을 넓힐 수 있는 장점도 있다.
13일 현대자동차는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의 ‘스펙트럼’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 서비스는 소비자가 매달 일정 금액을 내고 원하는 차량을 선택해 탈 수 있는 제도다. 국내 완성차 업체 중에선 첫 시도다.
월 정액요금은 149만원이다. 이 금액 안에는 차량 임대가격과 보험료, 유지보수비 등이 모두 포함돼 있다. 차량을 바꿔도 요금에는 변동이 없다. 재계약, 수수료 부담, 거리제한도 없어 장기 렌터카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구독경제’로 평가받는다.
수입차 브랜드 중에선 소형차 미니가 새로운 차량 판매 방식인 '에피카 올 더 타임 미니’를 선보였다. 매달 요금을 내면 미니 쿠퍼부터 고성능 모델인 존 쿠퍼 웍스 등 모든 차량을 이용 가능하다.
회사 측은 BMW 등 다른 수입차로 제공 차량을 점차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여러 차량을 경험해보길 원하는 소비자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며 “새 차를 사는 또 다른 방법으로 떠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구독경제는 해외 시장에서 이미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독일 스포츠카 업체 포르쉐는 ‘포르쉐 패스포트’라는 제도를 시행 중이다. 한 달에 2000달러(약 220만원)를 내면 미드십 스포츠카 박스터와 카이맨 등 차량을 골라 탈 수 있다.
볼보자동차는 지난 10월 독일에서 정기구독 상품을 도입했다. 월 498유로(약 63만원)에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C40을 운전할 수 있다. 이 밖에 벤츠 등도 같은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차량을 소유하는 사람이 줄면서, 완성차 업체의 신차 판매량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내수 시장에서 신차 등록대수는 전년 동기(169만8555대) 대비 0.6% 줄어든 168만7278대를 기록했다. 개별소비세 인하(5.0%→3.5%) 조치에도 기대 이하라는 평가다.
공유경제의 대표 주자인 카셰어링(차량공유) 업체는 생존에 성공해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은 2021년까지 카셰어링에 따른 전 세계 차량 판매 감소 대수가 약 55만대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쏘카의 경우 지난달 말 누적 이용자 수는 438만 명에 달했다. 전년(340만 명)보다 28.8% 증가했다. 보유하고 있는 차량은 1만1000대가량이다.
롯데렌탈의 카셰어링 자회사인 그린카는 같은 기간 누적 이용자 수가 27.6% 증가한 300만 명을 기록했다. 보유 차량은 약 6500대다.
업계 관계자는 “카셰어링은 이용 고객 중 2030세대 비중이 82.0% 이상으로 높다”며 “젊은 층을 잡기 위한 완성차 업체의 고민이 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들은 경제적 능력을 감안해 차량을 소유하지 않으려 한다”면서 “거대한 패러다임 변화 속에 공유 및 구독경제 시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박상재 한경닷컴 기자 sangjae@hankyung.com
13일 현대자동차는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의 ‘스펙트럼’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 서비스는 소비자가 매달 일정 금액을 내고 원하는 차량을 선택해 탈 수 있는 제도다. 국내 완성차 업체 중에선 첫 시도다.
월 정액요금은 149만원이다. 이 금액 안에는 차량 임대가격과 보험료, 유지보수비 등이 모두 포함돼 있다. 차량을 바꿔도 요금에는 변동이 없다. 재계약, 수수료 부담, 거리제한도 없어 장기 렌터카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구독경제’로 평가받는다.
수입차 브랜드 중에선 소형차 미니가 새로운 차량 판매 방식인 '에피카 올 더 타임 미니’를 선보였다. 매달 요금을 내면 미니 쿠퍼부터 고성능 모델인 존 쿠퍼 웍스 등 모든 차량을 이용 가능하다.
회사 측은 BMW 등 다른 수입차로 제공 차량을 점차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여러 차량을 경험해보길 원하는 소비자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며 “새 차를 사는 또 다른 방법으로 떠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구독경제는 해외 시장에서 이미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독일 스포츠카 업체 포르쉐는 ‘포르쉐 패스포트’라는 제도를 시행 중이다. 한 달에 2000달러(약 220만원)를 내면 미드십 스포츠카 박스터와 카이맨 등 차량을 골라 탈 수 있다.
볼보자동차는 지난 10월 독일에서 정기구독 상품을 도입했다. 월 498유로(약 63만원)에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C40을 운전할 수 있다. 이 밖에 벤츠 등도 같은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차량을 소유하는 사람이 줄면서, 완성차 업체의 신차 판매량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내수 시장에서 신차 등록대수는 전년 동기(169만8555대) 대비 0.6% 줄어든 168만7278대를 기록했다. 개별소비세 인하(5.0%→3.5%) 조치에도 기대 이하라는 평가다.
공유경제의 대표 주자인 카셰어링(차량공유) 업체는 생존에 성공해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은 2021년까지 카셰어링에 따른 전 세계 차량 판매 감소 대수가 약 55만대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쏘카의 경우 지난달 말 누적 이용자 수는 438만 명에 달했다. 전년(340만 명)보다 28.8% 증가했다. 보유하고 있는 차량은 1만1000대가량이다.
롯데렌탈의 카셰어링 자회사인 그린카는 같은 기간 누적 이용자 수가 27.6% 증가한 300만 명을 기록했다. 보유 차량은 약 6500대다.
업계 관계자는 “카셰어링은 이용 고객 중 2030세대 비중이 82.0% 이상으로 높다”며 “젊은 층을 잡기 위한 완성차 업체의 고민이 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들은 경제적 능력을 감안해 차량을 소유하지 않으려 한다”면서 “거대한 패러다임 변화 속에 공유 및 구독경제 시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박상재 한경닷컴 기자 sangj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