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명운걸고 中企생산성 높일 것"…스마트공장으로 혁신 구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 구축 목표…"질적 성장 뒤따라야" 지적도
정부가 13일 '스마트공장 3만개 구축' 목표를 설정한 데에는 물리적인 스마트공장 개설을 넘어서서 제조업 전반을 혁신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스마트공장은 제조 과정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접목돼 자동제어가 가능한 생산 시스템을 말한다.
실시간으로 수요자 맞춤 생산을 할 수 있어 4차산업혁명 시대의 필수 수단으로 꼽히지만, 대기업의 전유물처럼 여겨져 온 게 현실이었다.
'문재인 정부'는 그동안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유도하는 방법의 하나로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을 추진해왔다.
오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올해까지 7천800개를 지원했다.
정부가 이번에 이 목표치를 3만개로 올린 것은 중소기업의 제품생산 구조를 첨단화시킴으로써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을 이루겠다는 구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공장도 스마트하게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전날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단순히 개별 공장을 스마트공장으로 바꾸는 게 아니라 전면적으로 우리 제조산업을 혁신하고, 경제를 위해 상시로 하겠다는 것"이라며 "그래서 세계 최고의 제조 강국이 되겠다는 청사진을 갖춘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 장관은 "공급망이 전 세계로 확산했고, 이전에는 대기업 간의 경쟁이 두드러졌다면 이제는 중소기업 간의 경쟁이 두드러질 것"이라며 "세계의 대기업이 전 세계 공급망에서 부품을 조달받기 때문에, 우리 중소기업의 경쟁력이 뛰어나면 전 세계에 공급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스마트공장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민간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방식을 채택하겠다고 여러 차례 밝혀왔다.
실제로 대기업과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과 협력이 두드러졌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상생형 스마트공장 플랫폼'을 구축했고 지금까지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4대 대기업이 120억6천만원을 출연했다.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방식으로, 그 비용은 정부와 대기업이 각각 30%, 중소기업이 40%를 부담한다.
홍 장관은 "대기업들도 일단 협력회사를 스마트공장으로 바꾸는 것이 대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다른 대기업들도 참여하리라 기대하고 있다"며 "나아가 삼성처럼 관계사뿐만 아니라 식품 물류회사 등 전혀 관계없는 곳까지도 지원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자체들도 스마트공장 구축 예산을 별도로 배정하는 등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중기부는 설명했다.
경남, 경북은 자체적으로 스마트공장 확산 계획을 세웠고, 인천·부산·충남 등 일부 지자체는 스마트공장 지원 예산을 편성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이렇게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후 각 기업의 생산성은 30% 올랐고 불량률과 원가는 각각 43.5%, 15.9% 떨어졌다.
그리고 평균 2.2명을 추가로 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단지와 일터까지 혁신…'양적 확산에 치중' 지적도
정부는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산업단지(산단)와 일터혁신까지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중소기업들이 모여있는 산단을 중심으로 스마트공장을 보급하다 보면 효율성도 기대할 수 있지만, 동종업종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부가가치와 신산업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박건수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산단 안에 있는 스마트공장 공급기업과 연구소 등의 데이터를 연결, 공유함으로써 중소기업 혁신의 거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스마트산단 기획단'을 구성하고 2022년까지 스마트산단 10개를 조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내년에는 국가산업단지 2곳을 선도 산단으로 선정하기로 했다.
단순히 공장 하드웨어뿐 아니라 일하는 방식도 바꾸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안전한 일터를 조성, 산업재해를 30% 줄인다는 목표를 갖고 내년에 45억원을 투입해 고위험 업종에 협동 로봇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는 과정에 노동계가 참여해 직무개발 등을 결정하는 '노동 친화형' 스마트공장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 장관은 "그동안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다소 소홀했는데 이제 대대적으로 정부 명운을 걸고 (스마트화) 사업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스마트공장 구축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승부수로, 대통령도 특별히 관심을 갖고 있다"며 "정부가 집중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게 대통령의 뜻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가 양적 확대에만 급급, 질적 성장이라 할 수 있는 실질적인 스마트공장 수준은 낮다는 지적도 있다.
스마트공장 수준은 ICT 활용 정도에 따라 4단계로 나뉜다.
현재 국내에 보급된 스마트공장 79%가 1단계인 '기초' 수준에 집중돼 있다.
공장 내 생산정보를 디지털화하고 제품의 생산 이력을 관리하는 정도다.
생산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거나, 생산공정을 제어하고 맞춤형 유연 생산을 하는 수준과는 아직 거리가 멀다.
정부가 보여주기식 양적 확대에 치우쳐 스마트공장 질적 수준은 등한시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홍 장관은 "기초단계에 치중된 게 사실이지만, 일단 기초단계로 들어와 기존 공장 구동과 다른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일단 기초단계 도입 후 고도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스마트공장은 제조 과정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접목돼 자동제어가 가능한 생산 시스템을 말한다.
실시간으로 수요자 맞춤 생산을 할 수 있어 4차산업혁명 시대의 필수 수단으로 꼽히지만, 대기업의 전유물처럼 여겨져 온 게 현실이었다.
'문재인 정부'는 그동안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유도하는 방법의 하나로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을 추진해왔다.
오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올해까지 7천800개를 지원했다.
정부가 이번에 이 목표치를 3만개로 올린 것은 중소기업의 제품생산 구조를 첨단화시킴으로써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을 이루겠다는 구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공장도 스마트하게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전날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단순히 개별 공장을 스마트공장으로 바꾸는 게 아니라 전면적으로 우리 제조산업을 혁신하고, 경제를 위해 상시로 하겠다는 것"이라며 "그래서 세계 최고의 제조 강국이 되겠다는 청사진을 갖춘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 장관은 "공급망이 전 세계로 확산했고, 이전에는 대기업 간의 경쟁이 두드러졌다면 이제는 중소기업 간의 경쟁이 두드러질 것"이라며 "세계의 대기업이 전 세계 공급망에서 부품을 조달받기 때문에, 우리 중소기업의 경쟁력이 뛰어나면 전 세계에 공급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스마트공장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민간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방식을 채택하겠다고 여러 차례 밝혀왔다.
실제로 대기업과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과 협력이 두드러졌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상생형 스마트공장 플랫폼'을 구축했고 지금까지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4대 대기업이 120억6천만원을 출연했다.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방식으로, 그 비용은 정부와 대기업이 각각 30%, 중소기업이 40%를 부담한다.
홍 장관은 "대기업들도 일단 협력회사를 스마트공장으로 바꾸는 것이 대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다른 대기업들도 참여하리라 기대하고 있다"며 "나아가 삼성처럼 관계사뿐만 아니라 식품 물류회사 등 전혀 관계없는 곳까지도 지원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자체들도 스마트공장 구축 예산을 별도로 배정하는 등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중기부는 설명했다.
경남, 경북은 자체적으로 스마트공장 확산 계획을 세웠고, 인천·부산·충남 등 일부 지자체는 스마트공장 지원 예산을 편성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이렇게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후 각 기업의 생산성은 30% 올랐고 불량률과 원가는 각각 43.5%, 15.9% 떨어졌다.
그리고 평균 2.2명을 추가로 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단지와 일터까지 혁신…'양적 확산에 치중' 지적도
정부는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산업단지(산단)와 일터혁신까지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중소기업들이 모여있는 산단을 중심으로 스마트공장을 보급하다 보면 효율성도 기대할 수 있지만, 동종업종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부가가치와 신산업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박건수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산단 안에 있는 스마트공장 공급기업과 연구소 등의 데이터를 연결, 공유함으로써 중소기업 혁신의 거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스마트산단 기획단'을 구성하고 2022년까지 스마트산단 10개를 조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내년에는 국가산업단지 2곳을 선도 산단으로 선정하기로 했다.
단순히 공장 하드웨어뿐 아니라 일하는 방식도 바꾸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안전한 일터를 조성, 산업재해를 30% 줄인다는 목표를 갖고 내년에 45억원을 투입해 고위험 업종에 협동 로봇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는 과정에 노동계가 참여해 직무개발 등을 결정하는 '노동 친화형' 스마트공장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 장관은 "그동안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다소 소홀했는데 이제 대대적으로 정부 명운을 걸고 (스마트화) 사업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스마트공장 구축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승부수로, 대통령도 특별히 관심을 갖고 있다"며 "정부가 집중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게 대통령의 뜻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가 양적 확대에만 급급, 질적 성장이라 할 수 있는 실질적인 스마트공장 수준은 낮다는 지적도 있다.
스마트공장 수준은 ICT 활용 정도에 따라 4단계로 나뉜다.
현재 국내에 보급된 스마트공장 79%가 1단계인 '기초' 수준에 집중돼 있다.
공장 내 생산정보를 디지털화하고 제품의 생산 이력을 관리하는 정도다.
생산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거나, 생산공정을 제어하고 맞춤형 유연 생산을 하는 수준과는 아직 거리가 멀다.
정부가 보여주기식 양적 확대에 치우쳐 스마트공장 질적 수준은 등한시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홍 장관은 "기초단계에 치중된 게 사실이지만, 일단 기초단계로 들어와 기존 공장 구동과 다른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일단 기초단계 도입 후 고도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