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정기 교육·운용위 개최…"직원 노후자금 증식 책임져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한민국 퇴직연금 대상
DB부문 우수사업장
보훈복지공단·광물자원공사
DC부문 우수사업장
UPS코리아·한국쓰리엠
DB부문 우수사업장
보훈복지공단·광물자원공사
DC부문 우수사업장
UPS코리아·한국쓰리엠

하지만 모든 기업이 그렇진 않다. 근로자가 퇴직연금을 제대로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는 기업도 있다. 제5회 대한민국 퇴직연금 대상에서 우수사업장으로 선정된 기업들 얘기다.
광물자원공사도 분기별로 퇴직연금위원회를 열어 수익률 관리 및 운용 방안을 정한다. 외부 자문위원을 둬 의사결정의 전문성도 높였다. 1년 만기 원리금 보장상품에 편중돼 있던 운용구조도 지속적으로 개선했다. 현재는 전체 적립금의 40%를 중장기 투자상품에 넣어 성과를 개선하고 있다.
근로자가 퇴직연금을 직접 운용하는 확정기여(DC)형 부문에선 유나이티드파슬서비스(UPS)코리아(사장 박효종)와 한국쓰리엠(사장 아밋 라로야)이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 UPS코리아는 퇴직연금에 대한 직원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분기별로 가입자 교육을 한다. 본사뿐 아니라 전국 영업소 직원에게도 퇴직연금 사업자의 지역 컨설턴트를 통해 상담을 제공한다. 1년에 두 번 인사 및 재무·회계부서와 노사위원회가 모여 퇴직연금 운용 현황을 점검하고 수익률 개선 방안을 논의한다.
마지혜 기자 loo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