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구 의원 22% 교체 포함
김용태 사무총장은 '자진 탈락'

이번 탈락자 명단에는 비박계 수장 격인 김무성 의원을 포함해 친박계 핵심인 최경환·홍문종 의원도 포함됐다. 여기까지는 정치권에서 예상한 수준이었다. 인적쇄신의 실무를 총괄 지휘한 김용태 사무총장도 자신을 ‘청산 대상자’에 넣었다. 한국당을 탈당해 바른정당을 세우는 등 ‘분당’의 원인을 제공한 책임을 지겠다는 의미로, 탈락자의 반발을 차단하고 심사자의 공정성을 담보하기 위한 조치다.
박근혜 정부 청와대 참모나 관료를 지낸 김재원(전 청와대 정무수석)·윤상직(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곽상도(전 청와대 민정수석)·정종섭(전 행정자치부 장관) 의원도 교체 대상에 들었다. 2016년 20대 총선 당시 각각 원내대표와 정책위원회 의장을 지내며 선거운동을 지휘한 원유철·김정훈 의원에 대해서는 ‘총선 공천 파문’이라는 사유를 들었다.
당 일각에서는 ‘눈 가리고 아웅 식’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21명 현역의원 중 검찰이 기소한 11명과 사전에 차기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의원 4명을 제외하면 진정한 의미의 교체 대상은 6명 정도에 불과해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