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파생결합증권 투자액 커…80대 가입자 1억7000만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감원 "원금손실·불완전판매 가능성 등 주의해야"
연령대가 높을수록 주가연계증권(ELS) 등 파생결합증권 투자금액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금융감독원이 파생결합증권 판매사 38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발행 잔액 101조원 중 개인투자자의 투자 비중은 46.7%인 47조2천억원에 달했다.
개인투자자의 연령대별 투자금액을 보면 50대가 14조5천억원(30.7%)으로 가장 많고 60대 12조원(25.4%), 40대 8조7천억원(18.4%), 70대 5조9천억원(12.5%), 30대 이하 4조2천억원(8.9%), 80대 이상 1조8천억원(3.8%) 등 순이다.
이 가운데 60대 이상 고령층의 투자금액은 전체의 41.7%를 차지했다.
연령대별 개인투자자 수는 50대가 22만3천명(29.8%)으로 가장 많고 40대 16만1천명(21.5%), 60대 15만9천명(21.2%), 30대 이하 13만6천명(18.1%), 70대 5만8천명(7.7%), 80대 이상 1만명(1.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60대 이상 고령층은 22만7천명(30.2%)이다.
1인당 평균 투자금액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컸다.
80대 이상은 1억7천230만원에 달했고 70대 1억230만원, 60대 7천530만원, 50대 6천500만원, 40대 5천410만원, 30대 이하는 3천80만원이다.
전체 평균은 6천290만원이다.
고령층의 신규 투자는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
연령대별 투자자 중 파생결합증권에 처음 투자한 신규 투자자 비중은 60대 22.0%, 70대 19.0%, 80대 이상 20.0% 등이다.
금감원은 이에 대해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는 ELS 등이 안정적으로 운용돼야 할 노후자금의 투자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판매 방식은 은행신탁이 75.8%로 압도적으로 많고 증권사 판매(12.3%), 펀드(9.7%) 등 순이다.
은행신탁을 통해 판매된 상품의 1인당 평균 투자금액은 6천400만원으로 증권사(1천100만원)를 크게 웃돌았다.
70대 이상 투자자 수는 은행신탁 이용자가 5만3천명으로 증권사(9천명)의 약 6배에 달했다.
금감원은 "통상 안정적인 투자성향을 보이는 70대 이상 고령층의 투자 금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편이며 신규로 고위험상품인 ELS 등에 투자하는 고령투자자 수 비중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지 않다"며 "고령투자자 보호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ELS의 경우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상품으로 투자 시 예금자보호 대상이 아니고 중도환매 시 원금손실 위험이 있다는 점 등을 숙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70대 이상 고령 투자자와 투자 부적격 투자자에게 적용되는 투자자 숙려제도의 정착에도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투자자 숙려제도는 70세 이상 고령투자자 등이 청약 후 최종 투자 여부를 결정하기 전까지 2영업일 이상 충분히 생각할 수 있도록 시간을 부여하는 제도다.
금감원은 전체 투자금액의 75.8%가 은행신탁을 통해 판매됐다는 점에서 은행 창구 직원의 과도한 투자 권유로 인한 불완전판매 가능성에도 유의해 불완전판매 사전 예방에 힘쓰기로 했다.
/연합뉴스
연령대가 높을수록 주가연계증권(ELS) 등 파생결합증권 투자금액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금융감독원이 파생결합증권 판매사 38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발행 잔액 101조원 중 개인투자자의 투자 비중은 46.7%인 47조2천억원에 달했다.
개인투자자의 연령대별 투자금액을 보면 50대가 14조5천억원(30.7%)으로 가장 많고 60대 12조원(25.4%), 40대 8조7천억원(18.4%), 70대 5조9천억원(12.5%), 30대 이하 4조2천억원(8.9%), 80대 이상 1조8천억원(3.8%) 등 순이다.
이 가운데 60대 이상 고령층의 투자금액은 전체의 41.7%를 차지했다.
연령대별 개인투자자 수는 50대가 22만3천명(29.8%)으로 가장 많고 40대 16만1천명(21.5%), 60대 15만9천명(21.2%), 30대 이하 13만6천명(18.1%), 70대 5만8천명(7.7%), 80대 이상 1만명(1.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60대 이상 고령층은 22만7천명(30.2%)이다.
1인당 평균 투자금액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컸다.
80대 이상은 1억7천230만원에 달했고 70대 1억230만원, 60대 7천530만원, 50대 6천500만원, 40대 5천410만원, 30대 이하는 3천80만원이다.
전체 평균은 6천290만원이다.
고령층의 신규 투자는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
연령대별 투자자 중 파생결합증권에 처음 투자한 신규 투자자 비중은 60대 22.0%, 70대 19.0%, 80대 이상 20.0% 등이다.
금감원은 이에 대해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는 ELS 등이 안정적으로 운용돼야 할 노후자금의 투자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판매 방식은 은행신탁이 75.8%로 압도적으로 많고 증권사 판매(12.3%), 펀드(9.7%) 등 순이다.
은행신탁을 통해 판매된 상품의 1인당 평균 투자금액은 6천400만원으로 증권사(1천100만원)를 크게 웃돌았다.
70대 이상 투자자 수는 은행신탁 이용자가 5만3천명으로 증권사(9천명)의 약 6배에 달했다.
금감원은 "통상 안정적인 투자성향을 보이는 70대 이상 고령층의 투자 금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편이며 신규로 고위험상품인 ELS 등에 투자하는 고령투자자 수 비중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지 않다"며 "고령투자자 보호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ELS의 경우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상품으로 투자 시 예금자보호 대상이 아니고 중도환매 시 원금손실 위험이 있다는 점 등을 숙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70대 이상 고령 투자자와 투자 부적격 투자자에게 적용되는 투자자 숙려제도의 정착에도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투자자 숙려제도는 70세 이상 고령투자자 등이 청약 후 최종 투자 여부를 결정하기 전까지 2영업일 이상 충분히 생각할 수 있도록 시간을 부여하는 제도다.
금감원은 전체 투자금액의 75.8%가 은행신탁을 통해 판매됐다는 점에서 은행 창구 직원의 과도한 투자 권유로 인한 불완전판매 가능성에도 유의해 불완전판매 사전 예방에 힘쓰기로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