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 재취업해도 생활비 빠듯…3분의2는 월200만원 못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새로 취업한 중·장년 임금근로자 3명 중 2명은 한 달에 200만원도 못 버는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1년간 임금근로자였다가 자영업자가 된 중·장년 중에는 40대 초반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18일 통계청이 처음 발표한 '2017년 중장년층 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새로 일자리를 얻은 만 40∼64세 임금근로자 70만8천명 중 3분의 2는 월평균 임금이 200만원 미만이었다.
100만원∼200만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경우가 53.0%로 가장 많았고, 100만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경우도 13.9%로 모두 66.9%가 200만원 미만을 받았다.
200만원∼300만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임금근로자는 19.7%에 불과했다.
월평균 임금수준은 208만원으로, 남성(271만원)이 여성(165만원)보다 높았다.
재취업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40대 초반이 220만원, 50대 초반은 213만원, 60대 초반은 172만원으로 연령이 올라갈수록 낮아졌다.
이들은 2016년 10월에는 미취업 상태였지만, 지난해 10월에는 일자리를 취득한 취업자 133만1천명 중 사회보험 가입 등을 통해 임금파악이 가능한 이들이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중·장년이 된 뒤 재취업하면 동일하거나 더 많은 임금을 받는 건 어려운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일자리를 잃은 중·장년층 월급쟁이가 종전 직장에서 받던 월평균 임금은 재취업한 중·장년층 월급쟁이보다 높았다.
2016년 10월 취업자였지만, 지난해 10월에 미취업자로 변동된 만40∼64세 임금근로자 70만 3천명의 종전 일자리 월평균 임금은 259만원으로 재취업자보다 51만원 높았다.
이들도 100만원∼200만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경우가 37.3%로 가장 많았고, 100만원 미만도 9.9%로, 200만원 미만을 버는 근로자 비중은 47.2%로 떨어졌다.
200만원∼300만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임금근로자는 34.8%로 재취업자의 2배에 가까웠다.
월평균 임금은 남성(331만원)이 여성(198만원)보다 1.7배 많았고, 재취업자와 달리 연령이 올라갈수록 임금이 높아졌다.
40대 초반은 244만원, 50대 초반은 257만원, 60대 초반은 279만원이었다. 중장년 취업자 중 월급쟁이에서 자영업자로 밀려난 비중은 40대 초반이 가장 높았다.
한편 2016년 10월부터 1년간 일자리를 유지한 중장년층 취업자 1천75만7천명 중 종사상 지위가 바뀐 사람은 4.1%인 43만8천명에 달했다.
이 중 임금근로자에서 비임금근로자로 종사상 지위가 변동된 사람은 15만9천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보면 변동자 중에서 임금근로자에서 비임금근로자(또는 병행)로 전환한 비중은 40대 초반이 40.6%로 가장 높았고, 60대 초반이 32.5%로 가장 낮았다.
비임금에서 임금근로자(또는 병행)로 전환한 비중은 60대 초반이 34.1%로 가장 높고, 40대 초반이 29.1%로 가장 낮았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중장년층 인구는 1천996만4천명으로 총인구의 39.4%에 달했다.
10월 기준 중장년 인구 중 등록취업자 수는 1천208만8천명으로 전체의 61.5%에 달했다.
/연합뉴스
최근 1년간 임금근로자였다가 자영업자가 된 중·장년 중에는 40대 초반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18일 통계청이 처음 발표한 '2017년 중장년층 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새로 일자리를 얻은 만 40∼64세 임금근로자 70만8천명 중 3분의 2는 월평균 임금이 200만원 미만이었다.
100만원∼200만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경우가 53.0%로 가장 많았고, 100만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경우도 13.9%로 모두 66.9%가 200만원 미만을 받았다.
200만원∼300만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임금근로자는 19.7%에 불과했다.
월평균 임금수준은 208만원으로, 남성(271만원)이 여성(165만원)보다 높았다.
재취업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40대 초반이 220만원, 50대 초반은 213만원, 60대 초반은 172만원으로 연령이 올라갈수록 낮아졌다.
이들은 2016년 10월에는 미취업 상태였지만, 지난해 10월에는 일자리를 취득한 취업자 133만1천명 중 사회보험 가입 등을 통해 임금파악이 가능한 이들이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중·장년이 된 뒤 재취업하면 동일하거나 더 많은 임금을 받는 건 어려운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일자리를 잃은 중·장년층 월급쟁이가 종전 직장에서 받던 월평균 임금은 재취업한 중·장년층 월급쟁이보다 높았다.
2016년 10월 취업자였지만, 지난해 10월에 미취업자로 변동된 만40∼64세 임금근로자 70만 3천명의 종전 일자리 월평균 임금은 259만원으로 재취업자보다 51만원 높았다.
이들도 100만원∼200만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경우가 37.3%로 가장 많았고, 100만원 미만도 9.9%로, 200만원 미만을 버는 근로자 비중은 47.2%로 떨어졌다.
200만원∼300만원 미만을 벌어들이는 임금근로자는 34.8%로 재취업자의 2배에 가까웠다.
월평균 임금은 남성(331만원)이 여성(198만원)보다 1.7배 많았고, 재취업자와 달리 연령이 올라갈수록 임금이 높아졌다.
40대 초반은 244만원, 50대 초반은 257만원, 60대 초반은 279만원이었다. 중장년 취업자 중 월급쟁이에서 자영업자로 밀려난 비중은 40대 초반이 가장 높았다.
한편 2016년 10월부터 1년간 일자리를 유지한 중장년층 취업자 1천75만7천명 중 종사상 지위가 바뀐 사람은 4.1%인 43만8천명에 달했다.
이 중 임금근로자에서 비임금근로자로 종사상 지위가 변동된 사람은 15만9천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보면 변동자 중에서 임금근로자에서 비임금근로자(또는 병행)로 전환한 비중은 40대 초반이 40.6%로 가장 높았고, 60대 초반이 32.5%로 가장 낮았다.
비임금에서 임금근로자(또는 병행)로 전환한 비중은 60대 초반이 34.1%로 가장 높고, 40대 초반이 29.1%로 가장 낮았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중장년층 인구는 1천996만4천명으로 총인구의 39.4%에 달했다.
10월 기준 중장년 인구 중 등록취업자 수는 1천208만8천명으로 전체의 61.5%에 달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