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집단지성 형성과정' 빅데이터로 풀어내
"다수 논문·특허 발표한 국가일수록 소수 연구자에 더 의존"
정보 틀어쥔 소수가 가짜뉴스를 집단지성으로 눈속임한다
소수의 힘만으로도 여론을 쉽게 독점할 수 있다는 사실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명확하게 드러났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경남과기대·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과 함께 인터넷 백과사전·논문·특허 등 진화 양상을 살펴 집단지성 형성과정의 규칙성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집단지성은 여러 개체가 협력과 경쟁을 통해 지식을 축적하는 과정과 결과를 뜻한다.

개인 능력의 합보다 더 큰 능력을 발휘하는 창발 현상(emergence)은 여기에서 시작된다.

위키백과나 오픈소스 프로젝트 등이 그 좋은 사례다.

그런데 최근엔 온라인 포털을 중심으로 가짜뉴스 공격에 취약한 현상이 드러난다.
정보 틀어쥔 소수가 가짜뉴스를 집단지성으로 눈속임한다
연구팀은 그 이유를 찾기 위해 복잡계 방법론으로 대규모 집단지성 파악을 시도했다.

매우 복잡한 데이터에서 규칙성을 찾는 게 골자다.

연구팀은 먼저 273개 언어로 쓰인 863개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각각 성장을 측정해 변화 양상을 뜯어봤다.

그 결과 모든 데이터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성장 속도가 둔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데이터에 살을 붙이는 신규 기여자 유입이 점점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 현상이 '독점 영향'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어 기여자 사이의 기여 불평등을 정량화해 불평등 지수(Gini index)를 추적했다.

그랬더니 소수의 독점적 영향력이 향상하면서 기여자 행동을 대부분 지배하는 '독점화 현상'이 발견됐다.

지식이 축적될수록 지식 생성 불평등 지수가 높아졌다는 뜻이다.

독점 집단은 집단지성 생성 초기에 나타나 지속해서 영향력을 미쳤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신규 기여자가 이런 독점 계층에 진입하는 건 거의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내친김에 불평등 창발 현상을 재현하는 행위자 모형을 설계했다.

이 모형을 대입하면 지식이 축적될수록 미래의 집단지성 지식 독점이 더 심해지는 현상이 뚜렷하게 예측됐다.
정보 틀어쥔 소수가 가짜뉴스를 집단지성으로 눈속임한다
오프라인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보였다.

논문과 특허가 많이 발표된 국가일수록 소수 연구자에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신규 참여가 더 쉽다고 알려진 인터넷 백과사전이 상대적으로 폐쇄적인 것으로 알려진 논문과 특허보다 더 독점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역설적 현상 또한 있었다.

KISTI 윤진혁 박사는 "진입장벽과 규제가 없는 경우에 더 쉽게 소수가 독점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며 "현 상태를 방치한다면 온라인상 정보가 소수에 의해 독점돼 왜곡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연구재단 전략공모사업·신진연구자지원사업·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으로 수행했다.

성과를 담은 논문은 18일(한국시각) '네이처 인간행동'(Nature Human Behaviour) 온라인판에 실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