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4곳 중 1곳 "탄력근로 3개월로는 주52시간 대응 힘들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용부 조사 결과도 이런데…
노동계 "임금 삭감" 우려했지만, 기업 94%가 "임금 안 줄었다"
노동계 "임금 삭감" 우려했지만, 기업 94%가 "임금 안 줄었다"
![탄력근로제 확대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한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산하 노동시간제도개선위원회가 20일 첫 회의를 열었다. 이철수 위원장이 1차 전체회의를 마친 뒤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1812/AA.18530327.1.jpg)
고용노동부는 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 2400여 곳을 표본조사한 결과 탄력근로제 도입 비율이 3.22%(138곳)로 집계됐다고 20일 발표했다. 이 중 32.4%는 올해 탄력근로제를 도입했다. 도입 사유는 ‘물량변동 대응’이 46.7%로 가장 많았고 ‘여가생활 등을 위해 근로자가 요청한 경우’도 37.8%에 달했다.
![기업 4곳 중 1곳 "탄력근로 3개월로는 주52시간 대응 힘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1812/AA.18532548.1.jpg)
탄력근로 도입 기업의 24.3%는 ‘현행 제도로는 근로시간 단축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개선 의견으로는 ‘근로시간 사전특정 요건 완화’(24.6%), ‘임금 보전 의무 완화’(19.5%), ‘단위 기간 확대’(3.5%) 등이 있었다. 300인 이상 사업체는 ‘단위 기간 확대’를 요구하는 비율이 17.6%로, 300인 미만 사업체(3.0%)보다 높았다.
탄력근로제 때문에 실질 임금이 삭감될 것이라는 노동계 우려와 달리 대다수 도입 기업(94.2%)은 ‘임금이 줄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 중 81.5%는 ‘연장근로시간에 변화가 없었다’고 답했고 ‘임금 보전 조치를 했다’는 응답은 6.6%였다. 탄력근로제를 도입한 기업의 34.9%는 단위 기간 ‘3개월’을 적용했다. ‘2주 미만’이 28.9%였고, ‘2주∼1개월 미만’(21.5%),‘1∼3개월 미만’(14.7%) 순이었다.
이번 실태연구를 한 김승택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탄력근로제가 광범위하게 쓰이진 않더라도 기업들이 주 52시간 근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