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 늘린다면서…R&D 투자엔 인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풍력 등 선진국과 기술격차 큰데
신재생에너지 기술 개발 예산
박근혜 정부보다 오히려 적어
신재생에너지 기술 개발 예산
박근혜 정부보다 오히려 적어
문재인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적극 키운다고 하지만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에는 이전 정부보다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개발에 소홀하면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늘려도 그 과실은 해외 업체가 따먹는 구조가 계속될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2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개발 예산은 2079억원이었다.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4년 2243억원보다 164억원(7.3%) 적다. 박근혜 정부는 2015년과 2016년에도 신재생에너지 R&D에 각각 2131억원, 2163억원을 투자했다. 작년은 2038억원에 그쳤지만 전반적으로 현 정부보다 신재생에너지 R&D에 적극적이었다. 정부는 최근 확정된 내년도 예산안에서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 개발 예산을 2154억원으로 늘렸지만 여전히 2014년보다는 적은 수준이다.
세부 항목별로 태양광 R&D 예산은 올해 618억원이다. 2014년 597억원보다 3.5% 늘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태양광 설비가 58.1% 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R&D 투자가 확실히 보강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러다 보니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술 수준은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처진다. 산업부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선진국의 신재생에너지 기술 수준을 100으로 봤을 때 한국은 85.8에 그쳤다. 2.3년 기술 격차가 났다. 풍력은 상황이 더 심각해 선진국 대비 기술 수준이 68.3에 그쳤다. 기술 격차는 4.9년이었다.
기술 격차는 주요 신재생에너지 설비 입찰 때 외국 기업들이 사업을 따가고 외국산 장비의 국내 시장 잠식을 키우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려면 대대적인 R&D 투자를 통해 기술 격차를 줄여야 하는데 정부는 설비 보급 확대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지적이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에너지환경대학원 교수는 “신재생에너지 기술 경쟁력을 키우지 않으면 돈은 우리가 투자하고 이익은 외국 업체가 누리는 구조가 고착화될 것”이라며 “R&D 투자를 대폭 늘리는 것은 물론 해외의 신재생에너지 유망 기업 인수합병(M&A)도 적극 모색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
2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개발 예산은 2079억원이었다.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4년 2243억원보다 164억원(7.3%) 적다. 박근혜 정부는 2015년과 2016년에도 신재생에너지 R&D에 각각 2131억원, 2163억원을 투자했다. 작년은 2038억원에 그쳤지만 전반적으로 현 정부보다 신재생에너지 R&D에 적극적이었다. 정부는 최근 확정된 내년도 예산안에서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 개발 예산을 2154억원으로 늘렸지만 여전히 2014년보다는 적은 수준이다.
세부 항목별로 태양광 R&D 예산은 올해 618억원이다. 2014년 597억원보다 3.5% 늘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태양광 설비가 58.1% 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R&D 투자가 확실히 보강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러다 보니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술 수준은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처진다. 산업부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선진국의 신재생에너지 기술 수준을 100으로 봤을 때 한국은 85.8에 그쳤다. 2.3년 기술 격차가 났다. 풍력은 상황이 더 심각해 선진국 대비 기술 수준이 68.3에 그쳤다. 기술 격차는 4.9년이었다.
기술 격차는 주요 신재생에너지 설비 입찰 때 외국 기업들이 사업을 따가고 외국산 장비의 국내 시장 잠식을 키우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려면 대대적인 R&D 투자를 통해 기술 격차를 줄여야 하는데 정부는 설비 보급 확대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지적이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에너지환경대학원 교수는 “신재생에너지 기술 경쟁력을 키우지 않으면 돈은 우리가 투자하고 이익은 외국 업체가 누리는 구조가 고착화될 것”이라며 “R&D 투자를 대폭 늘리는 것은 물론 해외의 신재생에너지 유망 기업 인수합병(M&A)도 적극 모색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