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전략소장에 컨설턴트 출신
"은행DNA로는 한계…계속 영입"
일각선 불만 목소리 나오기도
신한금융은 지난 21일 동양증권 출신인 김병철 신한은행 부행장 겸 신한금융투자 부사장을 신한금투 사장에 내정했고, 알리안츠생명 사장을 지낸 정문국 오렌지라이프(옛 ING생명) 사장을 신한생명 사장에 발탁했다. 또 AT커니 초대 한국대표와 베인앤컴퍼니 한국지사장을 지낸 이성용 액시온컨설팅 대표를 신한금융지주 산하 미래전략연구소 소장으로 영입했다.
조 회장은 인사를 발표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은행원 DNA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끊임없이 외부에서 데려다 써야 한다”고 외부인사 발탁 배경을 설명했다. 조 회장은 특히 김 사장 내정자에 대해 “김 부사장이 GMS(그룹고유자산운용)부문장을 맡으면서 잘했기 때문에 금투 사장으로 추천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 소장 내정자에 대해 “글로벌 인재로 보는 안목이 크다”며 “신한금융그룹의 다음 먹거리를 찾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조 회장은 ‘앞으로도 외부인사 수혈을 계속할 것이냐’는 질문에 “끊임없이 늘려 내부인사와 경쟁을 시킬 것”이라고 답변했다. 조 회장은 지난해 3월 말 회장 취임 직후 조영서 베인앤컴퍼니 금융부문 대표를 신한금융지주 디지털전략담당 본부장으로 영입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비은행 부문의 전문가를 영입하는 것은 그룹을 더 성장시키려는 당연한 노력”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신한은행 한쪽에선 조 회장의 순혈 타파 실험이 ‘원 신한’의 정신을 약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신한은행 관계자는 “신한금융의 뿌리는 신한은행이며 신한은행 출신이 신한금융의 줄기를 형성하고 있다”며 “신한은행 출신이 중용되지 못하면 ‘원 신한’도 힘들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의 다른 관계자는 “외부인사는 또 다른 외부인사를 불러올 것이라는 신한은행 출신들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신한금융 계열사의 한 관계자는 “일각에선 사상 최대 이익에다 서울시금고를 따낸 위성호 신한은행장을 경질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안상미/김순신 기자 sara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