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배당금 올해 사상 첫 30조원 넘나…중간배당만 9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사의 연간 배당금 총액이 사상 처음 30조원을 넘어설지 주목된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의 올해 중간 배당금 규모가 약 9조1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4조6천억원) 대비 거의 2배 수준으로 증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올해 연간 배당금 총액도 작년에 이어 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라는 게 증권가의 지배적인 전망이다.
특히 올해 상장사가 결산 배당금을 작년과 같은 수준으로만 유지해도 연간 배당금 총액은 30조원을 넘어서게 된다.
지난해 중간 배당금을 제외한 기말 결산 배당금은 21조8천억원이었다.
최근 5년간 코스피 상장사의 연간 배당금 총액은 꾸준히 늘어왔다.
2013년 13조2천억원에서 2014년 15조3천억원, 2015년 20조원, 2016년 21조8천억원 등을 거쳐 작년에는 26조4천억원으로 증가했다.
이는 '대장주'인 삼성전자 등 상장 기업들이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하면서 배당을 늘려온 데 따른 것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3년간 잉여현금흐름의 최소 50%를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하고 배당은 매년 9조6천억원 수준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삼성전자의 작년 배당 규모는 5조8천억원이었다.
증권사들은 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등에 힘입어 올해 코스피 상장사의 배당금액이 작년보다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코스피200 기업의 연간 배당금만 26조9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작년 대비 12% 증가한 액수다.
한편 올해 사업연도의 배당금을 받으려면 오는 26일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한다.
배당 기준일인 28일까지 주주명부 및 해당 계좌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2일의 시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오태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미중 무역분쟁과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 유가 급락 등으로 증시 불확실성과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배당주에 대한 관심은 증가했다"고 말했다.
다만 "주가 부양을 위해 억지로 배당을 늘린 회사나 실적 부진으로 고배당을 지속할 수 없는 기업은 배당락일을 기점으로 상승 모멘텀이 사라질 수 있는 만큼 투자 방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의 올해 중간 배당금 규모가 약 9조1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4조6천억원) 대비 거의 2배 수준으로 증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올해 연간 배당금 총액도 작년에 이어 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라는 게 증권가의 지배적인 전망이다.
특히 올해 상장사가 결산 배당금을 작년과 같은 수준으로만 유지해도 연간 배당금 총액은 30조원을 넘어서게 된다.
지난해 중간 배당금을 제외한 기말 결산 배당금은 21조8천억원이었다.
최근 5년간 코스피 상장사의 연간 배당금 총액은 꾸준히 늘어왔다.
2013년 13조2천억원에서 2014년 15조3천억원, 2015년 20조원, 2016년 21조8천억원 등을 거쳐 작년에는 26조4천억원으로 증가했다.
이는 '대장주'인 삼성전자 등 상장 기업들이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하면서 배당을 늘려온 데 따른 것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3년간 잉여현금흐름의 최소 50%를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하고 배당은 매년 9조6천억원 수준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삼성전자의 작년 배당 규모는 5조8천억원이었다.
증권사들은 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등에 힘입어 올해 코스피 상장사의 배당금액이 작년보다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코스피200 기업의 연간 배당금만 26조9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작년 대비 12% 증가한 액수다.
한편 올해 사업연도의 배당금을 받으려면 오는 26일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한다.
배당 기준일인 28일까지 주주명부 및 해당 계좌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2일의 시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오태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미중 무역분쟁과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 유가 급락 등으로 증시 불확실성과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배당주에 대한 관심은 증가했다"고 말했다.
다만 "주가 부양을 위해 억지로 배당을 늘린 회사나 실적 부진으로 고배당을 지속할 수 없는 기업은 배당락일을 기점으로 상승 모멘텀이 사라질 수 있는 만큼 투자 방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