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 아파트 상승률 2년 연속 1위…서울 영등포가 강남보다 더 올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9 KB부동산 보고서' 발표
서울-기타 지역간, 집값 양극화 심화
절대값은 서울 강남 아파트가 높아
서울-기타 지역간, 집값 양극화 심화
절대값은 서울 강남 아파트가 높아
전국에서 가장 많이 집값이 오른 지역은 경기 성남시 분당구로 나타났다. 서울에서는 영등포구가 강남구, 송파구, 서초구 등 이른바 강남 3구를 제치고 집값이 더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26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019 KB부동산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주택가격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내놨다. 자료에 따르면 분당 아파트 가격은 최근 1년간 21.9% 올라 전국에서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서울 영등포구(18.3%), 강남구(17.8%), 양천구(17.7%), 송파구(17.6%), 동작구(17.1%) 의 순이었다.
주택가격지수가가 공표되는 전국 135개 지역에서 2017년 대비 1년간 상승한 지역은 85개, 하락지역은 50개였다. 이 중 주택가격이 3% 이상 상승한 지역은 42개 지역이었는데, 서울 25개구 모두와 광역시 일부(대구 2개구, 광주 2개구), 용인, 성남일부지역 등이 포함됐다.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성남시 분당구는 2017년에 이어 2년 연속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은 25개구 전구의 평균 아파트 가격상승률이 14% 가량이었다.
반면 아파트 가격 하락지역은 조선 및 자동차 사업 등 지역기반산업이 침체되고 있는 곳이었다. 거제가 지난 1년간 10.5% 내려 하락률 1위 지역에 이름을 올렸다. 창원 성산구(-10.1%), 의창구(-8.1%), 마산합포구(-7.4%) 등 창원시 지역구들이 뒤를 이었다. 청주시 상당구(-7.0%), 울산시 북구(-6.8%), 포항시 북구(-6.5%)도 집값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상승과 하락이 이처럼 갈리면서 집값의 양극화는 더 심화됐다. 서울지역에서는 최근 집값이 가파르게 올랐으나, 기타 지역에서는 오히려 하락해 격차가 더 벌어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서울과 기타 지방의 아파트값 격차는 8억원에 달했다. 2016년 10월에만 해도 격차가 5억2000여만원이었지만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는 판단이다. 기타지방의 주택가격은 2016년 3월 이후 대부분 하락세를 지속한 반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은 강남을 중심으로 가격이 급등했다.
아파트 절대값이 높은 곳은 강남이었다. 10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아파트값은 강남구였다. 1㎡당 평균 매매가격은 1825만원(전용면적기준)으로 기타지방(평균 217만원) 대비 약 8.4배 높았다. 실제 서울 강남권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약 9억8540만원으로 2년 전대비 2억원(26.0%) 상승했다. 대치동 래미안 팰리스의 경우 2017년 1월에 비해 매매가가 12억원(약 57%) 가량 급등해 33억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7년부터 상승 조짐을 보이던 서울 아파트 매가격은 올해들어 급등했다. 특히 시기별로 상승한 지역이 퍼져 나가면서 이른바 '갭메우기' 현상이 뚜렷했다. 지난 1~3월에 강남4구와 용산·성동·광진구를 시작으로 빠르게 상승하기 시작했다. 이어 4~7월 들어 동대문구·마포구·영등포구·동작구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다. 하반기 들어 서울 나머지 지역까지 집값 상승세가 확대됐다. 2018년 1~10월 동안 서울 25개구 아파트의 누적 매매가격상승률은 평균 19.5%에 달했다. 같은 기간 동일기간 동안 1차 상승 지역은 평균 21.1%, 2차 지역은 24.6%, 3차 지역은 16.7% 상승했다.
하반기 들어서는 강남권 이외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더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주택가격 상승세가 확대됐다. 이러자 정부는 지난 8.27대책을 통해 서울 종로구, 중구, 동대문구, 동작구를 투기지역으로 추가 지정했다. 기존에 지정된 11개구(강남4구, 용산, 마포, 영등포 등)과 더불어 대출규제를 강화했지만, 최근 서울 전반으로 가격상승세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강북구 아파트매매가격은 지난 9월에 전월대비 8.0% 상승하며 역대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노원구(+6.5%)와 도봉구(+5.3%)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보고서는 "올해 11월들어 강남권 아파트 가격은 하락세로 전환됐고, 인근지역 상승세도 다소 주춤한 분위기다"라며 "내년에는 거래침체 등의 시장분위기를 감안하면 추가 상승여력은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26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019 KB부동산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주택가격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내놨다. 자료에 따르면 분당 아파트 가격은 최근 1년간 21.9% 올라 전국에서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서울 영등포구(18.3%), 강남구(17.8%), 양천구(17.7%), 송파구(17.6%), 동작구(17.1%) 의 순이었다.
주택가격지수가가 공표되는 전국 135개 지역에서 2017년 대비 1년간 상승한 지역은 85개, 하락지역은 50개였다. 이 중 주택가격이 3% 이상 상승한 지역은 42개 지역이었는데, 서울 25개구 모두와 광역시 일부(대구 2개구, 광주 2개구), 용인, 성남일부지역 등이 포함됐다.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성남시 분당구는 2017년에 이어 2년 연속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은 25개구 전구의 평균 아파트 가격상승률이 14% 가량이었다.
반면 아파트 가격 하락지역은 조선 및 자동차 사업 등 지역기반산업이 침체되고 있는 곳이었다. 거제가 지난 1년간 10.5% 내려 하락률 1위 지역에 이름을 올렸다. 창원 성산구(-10.1%), 의창구(-8.1%), 마산합포구(-7.4%) 등 창원시 지역구들이 뒤를 이었다. 청주시 상당구(-7.0%), 울산시 북구(-6.8%), 포항시 북구(-6.5%)도 집값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상승과 하락이 이처럼 갈리면서 집값의 양극화는 더 심화됐다. 서울지역에서는 최근 집값이 가파르게 올랐으나, 기타 지역에서는 오히려 하락해 격차가 더 벌어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서울과 기타 지방의 아파트값 격차는 8억원에 달했다. 2016년 10월에만 해도 격차가 5억2000여만원이었지만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는 판단이다. 기타지방의 주택가격은 2016년 3월 이후 대부분 하락세를 지속한 반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은 강남을 중심으로 가격이 급등했다.
아파트 절대값이 높은 곳은 강남이었다. 10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아파트값은 강남구였다. 1㎡당 평균 매매가격은 1825만원(전용면적기준)으로 기타지방(평균 217만원) 대비 약 8.4배 높았다. 실제 서울 강남권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약 9억8540만원으로 2년 전대비 2억원(26.0%) 상승했다. 대치동 래미안 팰리스의 경우 2017년 1월에 비해 매매가가 12억원(약 57%) 가량 급등해 33억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7년부터 상승 조짐을 보이던 서울 아파트 매가격은 올해들어 급등했다. 특히 시기별로 상승한 지역이 퍼져 나가면서 이른바 '갭메우기' 현상이 뚜렷했다. 지난 1~3월에 강남4구와 용산·성동·광진구를 시작으로 빠르게 상승하기 시작했다. 이어 4~7월 들어 동대문구·마포구·영등포구·동작구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다. 하반기 들어 서울 나머지 지역까지 집값 상승세가 확대됐다. 2018년 1~10월 동안 서울 25개구 아파트의 누적 매매가격상승률은 평균 19.5%에 달했다. 같은 기간 동일기간 동안 1차 상승 지역은 평균 21.1%, 2차 지역은 24.6%, 3차 지역은 16.7% 상승했다.
하반기 들어서는 강남권 이외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더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주택가격 상승세가 확대됐다. 이러자 정부는 지난 8.27대책을 통해 서울 종로구, 중구, 동대문구, 동작구를 투기지역으로 추가 지정했다. 기존에 지정된 11개구(강남4구, 용산, 마포, 영등포 등)과 더불어 대출규제를 강화했지만, 최근 서울 전반으로 가격상승세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강북구 아파트매매가격은 지난 9월에 전월대비 8.0% 상승하며 역대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노원구(+6.5%)와 도봉구(+5.3%)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보고서는 "올해 11월들어 강남권 아파트 가격은 하락세로 전환됐고, 인근지역 상승세도 다소 주춤한 분위기다"라며 "내년에는 거래침체 등의 시장분위기를 감안하면 추가 상승여력은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