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집값 소폭 하락 전망…경기·대전·세종은 상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은 지역경제보고서, 부동산전문가 설문 조사
내년 집값이 경기와 대전, 세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역에서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은 26일 발간한 지역경제보고서(2018년 12월호)에 이와같은 내용의 '이슈모니터링: 지역별 주택가격 변동요인 및 향후전망'을 게재했다.
이는 한국은행 15개 지역본부가 지역별 주택시장 전문가 172명을 대상으로 11월15일∼12월 5일 설문조사한 결과다.
건설과 부동산업 종사자 86명, 은행 등 금융업 종사자 40명, 연구원과 교수 등 46명이 설문에 참여했다. 전문가들은 내년 부산과 울산, 강원, 충북 지역 집값 하락에는 대부분 의견을 같이 했다.
경북과 경남, 충남도 하락 전망이 70∼80%대에 달했다.
서울은 소폭 하락(53.3%)과 하락(13.3%)을 합하면 3분의 2에 달했다.
반면 경기와 대전, 세종은 상승 전망이 60%대로 우세했다.
대구는 하락과 보합 의견이 동일했고 제주는 소폭 상승 의견이 일부 있었다. 이들이 뽑은 내년 집값 하방 리스크는 대출규제 강화 등 정부정책(서울, 인천, 부산, 대구)과 지역경기 악화(울산, 경남), 미분양물량 적체(충남, 충북, 경북), 투자심리 둔화(광주, 전남) 등이었다.
상방 리스크는 인근지역 가격 상승(경기, 대전), 개발 호재(세종), 주택 순공급 감소 등이었다. 올해들어 11월까지 주택매매가격은 서울이 6%대, 광주, 전남, 대전, 세종, 대구 등이 2∼3%대 상승률을 보였다.
울산과 경남은 각각 6%와 4%대 하락하는 등 지역별로 차별화됐다.
이들은 올해 서울 집값 급등 배경으로 풍부한 유동성(31.7%)과 개발호재(24.4%), 인근지역 가격 상승(17.1%) 등을 꼽았다.
경기와 광주·전남은 인근지역 가격 상승 요인이 가장 큰 것으로 추정됐다.
세종·대전·대구는 개발 호재가 집값이 오른 이유로 제시됐다.
세종과 제주는 인구유입과 1∼2인 가구 증가 요인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세종은 내년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전이 예정돼있다.
그 밖에 지역은 올해 집값 하락 요인이 내년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부산과 울산, 경남은 지역경기 악화와 대출규제 등 정부 정책이, 충남, 충북, 경북은 미분양 적체 등이 하락 요인으로 꼽혔다. 대부분 전문가들은 9·13 정부 주택시장 안정대책이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정부 대책 중 대출규제 강화가 가장 효과적인 정책수단이라고 봤다.
그러나 종합부동산세 등 과세 강화는 대상이 적어서 실제 과세 강화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이 나왔다.
주택공급 확대는 개발 기간이 길다는 점과 수혜지역은 오히려 값이 오른다는 점이 지적됐다.
주택시장 규율 강화는 호가 담합과 시세 왜곡 등은 적발하기 어렵다거나 집값 상승요인으로 단정하기 힘들다는 견해가 있었다. /연합뉴스
내년 집값이 경기와 대전, 세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역에서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은 26일 발간한 지역경제보고서(2018년 12월호)에 이와같은 내용의 '이슈모니터링: 지역별 주택가격 변동요인 및 향후전망'을 게재했다.
이는 한국은행 15개 지역본부가 지역별 주택시장 전문가 172명을 대상으로 11월15일∼12월 5일 설문조사한 결과다.
건설과 부동산업 종사자 86명, 은행 등 금융업 종사자 40명, 연구원과 교수 등 46명이 설문에 참여했다. 전문가들은 내년 부산과 울산, 강원, 충북 지역 집값 하락에는 대부분 의견을 같이 했다.
경북과 경남, 충남도 하락 전망이 70∼80%대에 달했다.
서울은 소폭 하락(53.3%)과 하락(13.3%)을 합하면 3분의 2에 달했다.
반면 경기와 대전, 세종은 상승 전망이 60%대로 우세했다.
대구는 하락과 보합 의견이 동일했고 제주는 소폭 상승 의견이 일부 있었다. 이들이 뽑은 내년 집값 하방 리스크는 대출규제 강화 등 정부정책(서울, 인천, 부산, 대구)과 지역경기 악화(울산, 경남), 미분양물량 적체(충남, 충북, 경북), 투자심리 둔화(광주, 전남) 등이었다.
상방 리스크는 인근지역 가격 상승(경기, 대전), 개발 호재(세종), 주택 순공급 감소 등이었다. 올해들어 11월까지 주택매매가격은 서울이 6%대, 광주, 전남, 대전, 세종, 대구 등이 2∼3%대 상승률을 보였다.
울산과 경남은 각각 6%와 4%대 하락하는 등 지역별로 차별화됐다.
이들은 올해 서울 집값 급등 배경으로 풍부한 유동성(31.7%)과 개발호재(24.4%), 인근지역 가격 상승(17.1%) 등을 꼽았다.
경기와 광주·전남은 인근지역 가격 상승 요인이 가장 큰 것으로 추정됐다.
세종·대전·대구는 개발 호재가 집값이 오른 이유로 제시됐다.
세종과 제주는 인구유입과 1∼2인 가구 증가 요인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세종은 내년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전이 예정돼있다.
그 밖에 지역은 올해 집값 하락 요인이 내년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부산과 울산, 경남은 지역경기 악화와 대출규제 등 정부 정책이, 충남, 충북, 경북은 미분양 적체 등이 하락 요인으로 꼽혔다. 대부분 전문가들은 9·13 정부 주택시장 안정대책이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정부 대책 중 대출규제 강화가 가장 효과적인 정책수단이라고 봤다.
그러나 종합부동산세 등 과세 강화는 대상이 적어서 실제 과세 강화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이 나왔다.
주택공급 확대는 개발 기간이 길다는 점과 수혜지역은 오히려 값이 오른다는 점이 지적됐다.
주택시장 규율 강화는 호가 담합과 시세 왜곡 등은 적발하기 어렵다거나 집값 상승요인으로 단정하기 힘들다는 견해가 있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