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 관리.’

은행을 비롯한 대부분 금융회사가 꼽은 올해 키워드다. 국내외 경기둔화로 대출 증가폭은 낮아지고, 연체율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여기에 카드 수수료 인하, 가계대출 규제 등 금융당국의 잇단 규제정책도 올 한 해 금융사 수익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금융사들은 핀테크(금융기술)를 앞세운 디지털 강화로 위기를 돌파해 나가겠다는 전략을 마련했다.

일제히 올해 목표 낮춘 은행

2019년 금융계 핵심 키워드는 '위험 관리'
금융연구원은 2019년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을 지난해 추산치(11조8000억원)보다 2조원 감소한 9조8000억원으로 예상했다. 가계대출자산 증가율이 크게 둔화하고 경기침체로 대손 비용이 급증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도 “가계와 기업부문 연체율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며 “금융사들이 충당금 적립을 확대하고 취약차주, 한계기업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은행들의 원화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0월 말 0.58%에서 지난해 11월 말 0.6%로 상승했다. 2017년 11월 말과 비교하면 0.11%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67%로 작년 초부터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2019년 금융계 핵심 키워드는 '위험 관리'
이에 따라 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기업 등 6개 은행은 내년도 대출자산 성장률 목표치를 올해(6~8%)보다 낮은 3.3~5%로 잡았다.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있는 보험사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신용길 생명보험협회장과 김용덕 손해보험협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과 새 국제회계기준 도입 등으로 내년도 업계 수익성이 악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금융 포퓰리즘’ 확산되나

민간 금융사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금융당국의 관치(官治)가 여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자영업자와 저소득층 지원에 금융사가 나서 달라는 요구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우선 이달 중 여신전문금융업법 시행령 및 감독규정이 개정되는 대로 신용카드 수수료가 낮아진다. 우대 수수료 가맹점 범위는 연매출 5억원 이하에서 30억원 이하로 확대된다.

금융당국은 이달 중순께 대출금리 산정체계 개편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가산금리 항목 공개 범위를 확대하는 등 대출금리 인하를 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더욱이 올해부터 서민금융 재원 마련을 위해 은행을 비롯한 금융사들은 3000억원가량의 출연금을 더 내야 한다. 문재인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포용적 금융’ 달성을 위해 민간 금융사들은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 등 사회적 경제기업을 대상으로 최소 4000억원가량의 금융 지원에도 나설 전망이다.

돌파구는 ‘디지털 혁신’

금융사들은 한결같이 핀테크를 앞세운 디지털 강화를 돌파구로 삼고 있다. 은산분리(산업자본의 은행 소유 금지) 규제 완화로 오는 5월께 제3의 인터넷전문은행 등장이 예고되면서 기존 은행들은 디지털 강화로 맞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국민은행은 올해 전략 방향으로 ‘전사적 디지털 혁신을 통한 고객·직원 중심의 KB 실현’이라는 목표를 세웠다. 신한은행도 블록체인을 디지털 뱅킹 핵심 기술로 인식하고 은행권 처음으로 디지털전략본부 내 블록체인 랩을 만들어 다양한 기술·상품 제휴를 추진하고 있다.

정부도 신용정보보호법 개정 등을 통해 비식별정보인 가명정보를 통한 빅데이터 활용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계획이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의료·금융·통신 등 분야별로 정보주체가 자기 정보를 내려받아 활용하는 ‘마이데이터’ 사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또 비금융정보를 전문 취급하는 개인신용평가사도 출범한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