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카드업계에서 추천받은 신용카드들은 한 달에 30만원 가량을 사용할 경우 자동이체 결제를 건 통신요금에서 1만5000원 가량이 청구 할인되는 상품입니다. 휴대폰 교체 시 단말기 할부 원금을 분할 납부하는 '라이트할부' 신용카드는 제외했습니다.
해당 상품들은 연회비가 주로 2만원대로 높은 편이지만 1년에 18만원 가량을 할인받을 수 있는 만큼, 가입할 가치가 있다는 게 업계 평가입니다. 다만 카드별로 실적 산정 시 제외되는 항목들이 있는 만큼 사용 계획을 잘 세워야 합니다.
SK텔레콤 사용자라면 롯데카드의 '텔로(TELLO)카드'가 혜택이 큰 카드로 꼽혔습니다. 30만원 이상 사용하면 SK텔레콤 통신요금에서 매달 1만6000원을 깎아줍니다. 70만원 이상 사용하면 2만1000원, 120만원 이상은 2만6000원까지 다음달 할인 한도가 늘어납니다. 월 할인횟수는 제한이 없지만 총 할인금액 안에서 할인 혜택이 제공됩니다. 이용실적 산정 시에는 아파트관리비, 다른 카드 매출,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 장기카드대출(카드론), 국세·지방세, 연회비, 이자, 각종 수수료는 빠집니다.
KT 가입자의 경우 KB국민카드의 'KT Super DC7 KB국민 비씨카드'의 혜택이 큰 편입니다. 전월 실적이 30만원 이상이면 한 달에 1만5000원이 청구 할인됩니다. 연회비 정보는 브랜드에 따라 2만5000~2만7000원입니다. 전월 이용실적이 70만원 이상이면 월 할인금액이 2만원으로 커집니다. 혜택이 큰 대신 연회비 면제 조건이 없는 카드란 점은 아쉽습니다. 이용실적에서 장·단기카드대출, 연회비, 이자 및 각종 수수료, 정부지원금, 취소금액 등은 제외됩니다. 비씨카드이기 때문에 KB국민카드 포인트리가 적립되지 않는다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합니다.
LG U+의 경우 현대카드의 'LG U+ 현대카드M Edition2'와 'LG U+ Family 하나카드'의 혜택이 큰 편입니다.
LG U+ 현대카드M Edition2는 통신요금 자동이체 시 발급 뒤 36개월까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회비는 브랜드에 따라 1만5000~2만원입니다. 상대적으로 1만원대의 연회비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전월 실적이 30만원을 넘어가면 다음달 1만7000원을 할인 받을 수 있고, 70만원을 상회하면 2만원이 청구 할인됩니다.
통신요금 자동이체 37개월차부터는 전월 이용금액 30만원 이상 시 매월 6000원이 할인되도록 바뀝니다. 결제취소금액, 장·단기카드대출, 연회비, 제수수료, 이자납부액은 이용금액에서 제외됩니다.
LG U+ Family 하나카드는 카드이용실적이 30만원, 70만원을 넘어갈 경우 1만7000(30만원 이상)~2만5000원(70만원 이상) 내에서 통신료의 25%가 할인됩니다. 통신비 25% 할인 혜택은 가입 후 24개월간 제공되고, 이후에는 할인 폭이 15%로 줄어드는 상품입니다.
3사 가입자가 공통적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품도 있습니다. 현대카드의 '하이마트Mobile-현대카드M Edition2(통신료 청구할인형)'입니다. 'LG U+ 현대카드M Edition2'와 같은 수준의 할인 혜택을 SK텔레콤, KT, LG U+, CJ헬로의 통신요금에서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휴대폰 약정 기간이 끝나가고 있거나, 통신사를 바꿀 계획이 있다면 더욱 이 카드가 유리해 보입니다. 적용 통신사가 다수인 만큼, 중도에 통신사를 바꾸더라도 자동이체를 등록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들 카드는 혜택이 큰 상품이다보니 주로 카드 모집인보다 전용고객 및 제휴카드 발급센터, 온라인 등을 이용해야 발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동납부가 아닌 일반납부 방식으로 통신비를 낼 경우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없으니 유의하세요. 카드 발급 후 각 통신사 고객센터에 직접 자동이체 신청을 해야 합니다.
최근 정부가 카드사의 마케팅비 축소를 권고하면서 카드사들이 혜택 높은 카드의 신규 발급을 중단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통신비 역시 혜택이 큰 상품 중 하나인 만큼 아직 가입하고 있지 않다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겠습니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최근에는 통신요금 청구할인형 신용카드의 인기가 높다"며 "일부 카드사들의 특판 시기에 가입하면 보다 유리한 혜택이 있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