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터로 시제품 제작…'아이디어 창업의 요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문재인 대통령, 새해 첫 산업현장 행보
'메이커 스페이스' 어떤곳
'메이커 스페이스' 어떤곳
‘메이커 스페이스’는 누구나 3D(3차원) 프린터 등을 이용해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대규모 제조시설이 필요한 전통 제조업과 달리 개인도 3D 프린터나 레이저 가공기 등 디지털 기기를 이용해 빠르게 완제품을 만들 수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 선정한 메이커 스페이스 65곳 가운데 53곳이 운영을 시작했다고 3일 밝혔다. 235억원을 투입해 전문랩 5곳, 일반랩 60곳 등 메이커 스페이스 65곳을 우선 구축했다. 정부는 올해도 60여 곳을 추가 조성할 계획이다. 2022년까지 전국에 메이커 스페이스 350여 곳을 조성하는 게 목표다.
메이커 스페이스는 직접 시제품을 제작해 사업 및 창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어 ‘아이디어 창업의 요람’으로 불린다. 기존에도 무한상상실, 아이디어 팩토리 등 시제품을 만들어 볼 수 있는 활동공간이 있었다. 하지만 운영시간이 짧고 전문 운영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정부는 지난해 일반인을 위한 일반랩과 전문 메이커를 위한 전문랩 등으로 구분해 메이커 스페이스를 조성하기 시작했다. 일반랩과 전문랩은 야간·주말시간 개방 등 탄력적으로 공간을 운영한다.
김기만 기자 mgk@hankyung.com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 선정한 메이커 스페이스 65곳 가운데 53곳이 운영을 시작했다고 3일 밝혔다. 235억원을 투입해 전문랩 5곳, 일반랩 60곳 등 메이커 스페이스 65곳을 우선 구축했다. 정부는 올해도 60여 곳을 추가 조성할 계획이다. 2022년까지 전국에 메이커 스페이스 350여 곳을 조성하는 게 목표다.
메이커 스페이스는 직접 시제품을 제작해 사업 및 창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어 ‘아이디어 창업의 요람’으로 불린다. 기존에도 무한상상실, 아이디어 팩토리 등 시제품을 만들어 볼 수 있는 활동공간이 있었다. 하지만 운영시간이 짧고 전문 운영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정부는 지난해 일반인을 위한 일반랩과 전문 메이커를 위한 전문랩 등으로 구분해 메이커 스페이스를 조성하기 시작했다. 일반랩과 전문랩은 야간·주말시간 개방 등 탄력적으로 공간을 운영한다.
김기만 기자 m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