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파업 막자" 국민은행 경영진 일괄 사의 표명…노조 즉각 '반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 부행장과 전무, 상무, 본부장 등 54명은 이날 허인 국민은행장에게 사직서를 제출했다.
경영진은 총파업에 이르게 된 책임을 깊이 통감하고 있다며 고객 불편을 고려해 파업에 이르지 않도록 노조와 대화를 지속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전날에는 직원들에게 호소 영상을 보내 파업 참여 자제를 촉구하기도 했다.
경영진의 사직서 제출 소식에 노조 측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사측이 총파업의 책임을 노조에 전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국민은행 노조는 "총파업을 앞두고 경영진은 책임을 지고 물러나는데, 직원과 노동조합은 무책임하게 총파업을 강행한다는 프레임을 씌우고 있다"며 "경영진은 사의를 표명한 것일 뿐 아직 사표가 수리된 것은 아니고 언제든 사의를 번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 관계자는 "정작 이번 임금단체협상(임단협) 파행과 노사갈등을 야기시킨 최고경영자들은 사의표명이 아니라 책임 조차 지지 않고 있다"며 "힘 없는 부행장 이하 임원들에게 희생을 강요하고 꼬리 자르는 두 사람의 부도덕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규탄했다.
노조는 또 "노조는 끝까지 협상의 여지가 있다 생각한다"면서도 "사측은 총파업을 기정사실화 해 현재 지점장들을 불러모아 비상영업 대책을 마련하고, 총파업에 직원들을 참여시키지 않을 방안들만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노조와 사측은 작년 9월18일부터 12차례 교섭을 진행했지만 끝내 접점을 찾지 못했다.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의 조정 또한 결렬됐다.
노사는 △성과급 △유니폼 폐지에 따른 피복비(매년 100만원) 지급 △페이밴드(호봉상한제) 폐지 △임금피크제 진입 시기 1년 연장 등을 놓고 마찰을 빚고 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