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인시장 간 이낙연 총리 > 이낙연 국무총리(왼쪽 세 번째)가 4일 서울 종로구 통인시장을 방문해 이곳의 명물인 엽전 도시락을 체험하고 있다. 이 총리는 전통시장 경기를 체감하고 상인들의 어려움을 듣기 위해 통인시장을 찾았다.    /김범준 기자 bjk07@hankyung.com
< 통인시장 간 이낙연 총리 > 이낙연 국무총리(왼쪽 세 번째)가 4일 서울 종로구 통인시장을 방문해 이곳의 명물인 엽전 도시락을 체험하고 있다. 이 총리는 전통시장 경기를 체감하고 상인들의 어려움을 듣기 위해 통인시장을 찾았다. /김범준 기자 bjk07@hankyung.com
청와대가 문재인 대통령의 1호 공약인 ‘집무실 이전’을 사실상 백지화하고 장기 사업으로 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광화문시대준비위원회 자문위원인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은 4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현 단계에서 광화문 청사로 이전할 경우 청와대 영빈관, 본관, 헬기장 등 집무실 이외 주요 기능 대체부지를 인근에서 찾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집무실 이전은 서울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마무리된 이후에 장기적인 사업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대신 ‘광화문을 청와대 안으로 끌어들이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광화문을 통과해 북악산을 오를 수 있도록 대통령 관저 이전 등의 복안을 마련하겠다는 설명이다.

청와대는 역사성, 보안, 비용 등을 종합 검토한 결과라고 부연했다. 유 전 청장은 이에 대해 “일본강점기 총독관저가 들어온 뒤 광화문에서 북악산, 북한산으로 이어지는 서울의 정축이 국민에게 개방된 적이 없다”며 “청와대 개방은 이런 점에서 역사성 면에서는 긍정적으로 검토됐지만 보안과 비용 문제가 걸림돌이 됐다”고 덧붙였다.

다만 ‘국민과의 소통과 청와대 개방’이라는 기본 기조는 이어가겠다고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오는 21일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 심사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은 2021년 5월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업이 완료되면 문 대통령의 임기가 1년밖에 남지 않게 된다. 사실상 현 정부에서 집무실을 이전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이 때문에 문 대통령의 1호 공약을 사실상 파기한 것을 두고 비판의 목소리가 상당하다. 문 대통령은 2017년 5월 당선 직후 “구시대의 잘못된 관행과 과감히 결별하겠다”며 “준비가 되는 대로 지금의 청와대에서 나와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열겠다”고 선언했다. 당시에도 보안 등의 이유로 사실상 이전이 쉽지 않다는 우려가 제기됐지만 결국 취임 후 1년8개월 만에 이를 뒤집은 셈이 됐다.

유 전 청장은 ‘이전이 어렵다는 것은 대선 후보 시절에도 충분히 예상 가능하지 않았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선 당시 실무적인 검토를 거치지 않았다”고 답했다.

그는 “대통령께서 실무적인 검토보다도 이념으로 광화문 시대를 얘기했다”며 “대통령으로서 임무를 수행하다보니 이에 따르는 경호와 의전이라는 게 엄청 복잡하고 어렵다는 사실을 인지했다”고도 덧붙였다. 자문위원 등 전문가들을 통해 최적의 동선을 고심했지만 광화문 인근에 집무실·관저 전체를 재구성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는 설명이다.

문 대통령이 머물고 있는 관저를 두고 ‘풍수가 불길하다’고 밝혀 논란이 일기도 했다. 유 전 청장은 “경복궁-청와대-북악산을 연결해 (시민이 경복궁과 청와대를 거쳐) 북악산을 올라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관저 위치를 불가피하게 옮겨야 한다. 유 전 청장은 “경호처와 동선을 살피며 관저 이전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면서도 “누가 봐도 현재 관저의 사용상 불편한 점, 나아가서는 풍수상의 불길한 점을 생각할 때는 옮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