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 세계은행 총재 임기 3년여 남겨두고 '돌연사퇴' 배경 관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유 구체적 언급 안해 …"민간부문 합류 기회 예기치 않은 것"
美언론들, 트럼프 행정부와 불화·구조조정 내부반발 거론 김용(미국명 Jim Yong Kim) 세계은행 총재가 임기를 3년 넘게 남겨두고 7일(현지시간) 돌연 사임을 발표해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총재는 2012년에 아시아계 최초로 세계은행 총재에 선임된 이후 2016년 연임에 성공, 2017년 7월1일부터 5년 임기를 새로 시작했다.
임기 만료를 3년반 가량 남겨둔 상황에서 전격 사퇴를 발표한 것이다.
김 총재는 이날 세계은행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조기 사임 이유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피한 채 개발도상국에 대한 인프라 투자를 하는 민간 기업에 합류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총재는 "민간부문에 합류할 기회는 예기치 않은(unexpected) 것이었다"면서 "이것이 기후변화와 같은 글로벌 중요 이슈와 신흥시장에서의 인프라 부족에 대해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민간부문 합류가 예기치 않은 것이었다는 설명은 조기 사임 배경이 다른 데 있다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미 언론은 김 총재가 이끈 세계은행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원활하지 못했던 관계를 거론했다.
WSJ은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이 세계은행의 중국에 대한 대출을 비판해왔다고 전했다.
블룸버그 통신도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대출을 포함해 세계은행의 대출 행태에 관해 합당한 설명을 요구하는 등 압박을 행사해왔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파리기후변화 협정을 탈퇴를 선언한 가운데 김 총재가 민간 기업 합류 배경을 설명하면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는 취지의 언급을 한 점도 주목된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해 4월 당초 반대를 철회, 세계은행이 회원국들로부터 130억 달러의 자본을 증액하는 것을 지지했다.
외신들은 김 총재의 내부 구조조정에 대한 직원들의 반발도 거론했다.
김 총재가 시작한 긴축 재정과 직원 감축 등 구조조정에 대해 내부 직원들이 거부감을 나타냈으며, 특히 직원들은 지도부와 세계은행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세계은행 직원연합은 2016년 세계은행이 '리더십 위기'에 직면했으며, 세계은행 통제를 위한 '밀실 거래'(back-room deals)를 끝낼 것을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세계은행은 지난 70여년간 최대지분을 가진 미국이 총재를 맡아왔으며, 김 총재도 2012년 선임과 2016년 연임 성공 당시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었다.
WSJ은 김 총재의 재임 기간 논란이 없지 않았다면서 내부 조직개편을 주도하면서 안팎으로부터 반발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고 전했다.
서울에서 태어난 김 총재는 다섯 살 때 부모를 따라 미국 아이오와주로 이민했으며 브라운대학 졸업 후 하버드대에서 의학박사와 인류학박사 학위를 받고 이 대학 의대 교수로 재직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에이즈 국장을 지낸 보건 전문가로, 2009년 한국계 최초로 아이비리그 대학 중 한 곳인 미국 다트머스대 총장에 오르기도 했다.
김 총재의 사임으로 다음 달 1일부터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세계은행 최고경영자(CEO)가 임시로 총재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미 언론들은 김 총재의 사임으로 후임자 선정 과정에서 트럼프 미 행정부와 미국의 세계은행 장악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해온 비판적 세력 간에 치열한 싸움이 촉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美언론들, 트럼프 행정부와 불화·구조조정 내부반발 거론 김용(미국명 Jim Yong Kim) 세계은행 총재가 임기를 3년 넘게 남겨두고 7일(현지시간) 돌연 사임을 발표해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총재는 2012년에 아시아계 최초로 세계은행 총재에 선임된 이후 2016년 연임에 성공, 2017년 7월1일부터 5년 임기를 새로 시작했다.
임기 만료를 3년반 가량 남겨둔 상황에서 전격 사퇴를 발표한 것이다.
김 총재는 이날 세계은행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조기 사임 이유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피한 채 개발도상국에 대한 인프라 투자를 하는 민간 기업에 합류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총재는 "민간부문에 합류할 기회는 예기치 않은(unexpected) 것이었다"면서 "이것이 기후변화와 같은 글로벌 중요 이슈와 신흥시장에서의 인프라 부족에 대해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민간부문 합류가 예기치 않은 것이었다는 설명은 조기 사임 배경이 다른 데 있다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미 언론은 김 총재가 이끈 세계은행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원활하지 못했던 관계를 거론했다.
WSJ은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이 세계은행의 중국에 대한 대출을 비판해왔다고 전했다.
블룸버그 통신도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대출을 포함해 세계은행의 대출 행태에 관해 합당한 설명을 요구하는 등 압박을 행사해왔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파리기후변화 협정을 탈퇴를 선언한 가운데 김 총재가 민간 기업 합류 배경을 설명하면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는 취지의 언급을 한 점도 주목된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해 4월 당초 반대를 철회, 세계은행이 회원국들로부터 130억 달러의 자본을 증액하는 것을 지지했다.
외신들은 김 총재의 내부 구조조정에 대한 직원들의 반발도 거론했다.
김 총재가 시작한 긴축 재정과 직원 감축 등 구조조정에 대해 내부 직원들이 거부감을 나타냈으며, 특히 직원들은 지도부와 세계은행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세계은행 직원연합은 2016년 세계은행이 '리더십 위기'에 직면했으며, 세계은행 통제를 위한 '밀실 거래'(back-room deals)를 끝낼 것을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세계은행은 지난 70여년간 최대지분을 가진 미국이 총재를 맡아왔으며, 김 총재도 2012년 선임과 2016년 연임 성공 당시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었다.
WSJ은 김 총재의 재임 기간 논란이 없지 않았다면서 내부 조직개편을 주도하면서 안팎으로부터 반발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고 전했다.
서울에서 태어난 김 총재는 다섯 살 때 부모를 따라 미국 아이오와주로 이민했으며 브라운대학 졸업 후 하버드대에서 의학박사와 인류학박사 학위를 받고 이 대학 의대 교수로 재직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에이즈 국장을 지낸 보건 전문가로, 2009년 한국계 최초로 아이비리그 대학 중 한 곳인 미국 다트머스대 총장에 오르기도 했다.
김 총재의 사임으로 다음 달 1일부터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세계은행 최고경영자(CEO)가 임시로 총재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미 언론들은 김 총재의 사임으로 후임자 선정 과정에서 트럼프 미 행정부와 미국의 세계은행 장악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해온 비판적 세력 간에 치열한 싸움이 촉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