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中과 북미정상회담 최종 조율차 방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문가들, 김정은 방중 목적 평가…'플랜B' 마련 포석 관측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새해 벽두 전격적인 방중은 2차 북미정상회담의 시기와 장소, 의제에 대한 윤곽이 나온 상황에서 북한이 중국과 최종 조율을 위한 목적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박종철 경상대 교수(통일평화연구센터 소장)는 8일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에 대해 "2차 북미정상회담의 시간과 장소, 의제가 나온 상황에서 중국의 의견을 반영하려고 노력하고, 조언을 구하려는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김한권 국립외교원 교수도 "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북·중 간 전략적 이익에 대한 조율을 위한 것"이라며 "전략적 협력을 강화해 북한이 가질 대미 협상력을 최대한으로 만들고, 북미정상회담에 임하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2차 북미정상회담 의제에 대해 북한이 미국과 내용상으로도 상당 부분 접근해 있고, 정상회담 시기와 장소까지 거의 결정된 상황에서 김 위원장이 방중한 것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정재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 부본부장은 "방중의 가장 핵심 목적은 (북미가) 2차 북미정상회담을 조만간 개최한다고 하고 있기 때문에 회담에 앞서 북·중 간 전략적 소통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은 2차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되지 않거나 성과가 나오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플랜B'를 마련할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앞서 김 위원장은 신년사에서 미국의 제재·압박 일변도가 올해 계속될 경우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북미 간 협상에서 일방적인 양보를 하지는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김준형 한동대 교수는 "신년사에 나타난 대로 북한의 올해 베스트플랜은 미국과 빅딜을 하는 것이지만, 이것이 안됐을 경우를 대비해 북한이 '플랜B'를 마련하려는 차원도 있다"며 "그리고 새로운 길인 '플랜B'는 다시 (군사) 도발로 가는 방향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강준영 한국외대 교수는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에 대해 "2차 북미정상회담을 추동하는 역할로, 북·중 간 밀착성을 미국에 전달하고, (2차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되지 않을 경우에도 중국을 소위 배경으로 두고 움직이겠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동엽 교수도 "2차 북미정상회담이 중요하지만,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이 단순히 그것 때문만은 아니라고 본다"며 "짧게는 2019년, 좀 더 나아가 2020년까지 북한의 로드맵을 들고 갔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의 새해 대외전략구상과 관련해 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정전협정 당사자들과의 긴밀한 연계 밑에 조선반도(한반도)의 현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다자협상도 적극 추진한다"라고 밝혀 중국을 포함한 남북미중 4국이 참여하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올해 외교목표로 삼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동엽 교수는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이 "신년사에서 언급한 평화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다자협상이나 '새로운 길'의 가능성 언급관 관련된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올해 첫 외교 행보로 중국을 택한 김 위원장의 결정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강화 속에서 신년사에서 언급한 경제성장 국정과제를 실행하기 위한 중국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과도 맞물린다.
박종철 교수는 중국에서 북한의 신년사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고, 올해가 북·중 수교 70주년인 점을 언급하면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서 북한 인민 생활과 직접 관련되는 부분에 대해 중국이 방중한 김 위원장에 '선물'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박 교수는 "북·중 무역수지는 제재 때문에 당장 개선하기 어렵고, 수산물·의류 임가공·인력수출·관광을 비롯한 무역 외 수지에서 선물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김준형 교수는 "제재는 지속하겠지만 북한이 종전 같은 도발을 하지 않는 이상 더 타이트해지긴 힘들고, 중국과 러시아가 전면적인 제재 완화를 하지는 못하겠지만 제재가 느슨해질 순 있다"며 "그러려면 중국의 도움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박종철 경상대 교수(통일평화연구센터 소장)는 8일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에 대해 "2차 북미정상회담의 시간과 장소, 의제가 나온 상황에서 중국의 의견을 반영하려고 노력하고, 조언을 구하려는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김한권 국립외교원 교수도 "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북·중 간 전략적 이익에 대한 조율을 위한 것"이라며 "전략적 협력을 강화해 북한이 가질 대미 협상력을 최대한으로 만들고, 북미정상회담에 임하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2차 북미정상회담 의제에 대해 북한이 미국과 내용상으로도 상당 부분 접근해 있고, 정상회담 시기와 장소까지 거의 결정된 상황에서 김 위원장이 방중한 것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정재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 부본부장은 "방중의 가장 핵심 목적은 (북미가) 2차 북미정상회담을 조만간 개최한다고 하고 있기 때문에 회담에 앞서 북·중 간 전략적 소통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은 2차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되지 않거나 성과가 나오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플랜B'를 마련할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앞서 김 위원장은 신년사에서 미국의 제재·압박 일변도가 올해 계속될 경우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북미 간 협상에서 일방적인 양보를 하지는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김준형 한동대 교수는 "신년사에 나타난 대로 북한의 올해 베스트플랜은 미국과 빅딜을 하는 것이지만, 이것이 안됐을 경우를 대비해 북한이 '플랜B'를 마련하려는 차원도 있다"며 "그리고 새로운 길인 '플랜B'는 다시 (군사) 도발로 가는 방향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강준영 한국외대 교수는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에 대해 "2차 북미정상회담을 추동하는 역할로, 북·중 간 밀착성을 미국에 전달하고, (2차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되지 않을 경우에도 중국을 소위 배경으로 두고 움직이겠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동엽 교수도 "2차 북미정상회담이 중요하지만,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이 단순히 그것 때문만은 아니라고 본다"며 "짧게는 2019년, 좀 더 나아가 2020년까지 북한의 로드맵을 들고 갔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의 새해 대외전략구상과 관련해 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정전협정 당사자들과의 긴밀한 연계 밑에 조선반도(한반도)의 현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다자협상도 적극 추진한다"라고 밝혀 중국을 포함한 남북미중 4국이 참여하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올해 외교목표로 삼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동엽 교수는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이 "신년사에서 언급한 평화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다자협상이나 '새로운 길'의 가능성 언급관 관련된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올해 첫 외교 행보로 중국을 택한 김 위원장의 결정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강화 속에서 신년사에서 언급한 경제성장 국정과제를 실행하기 위한 중국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과도 맞물린다.
박종철 교수는 중국에서 북한의 신년사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고, 올해가 북·중 수교 70주년인 점을 언급하면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서 북한 인민 생활과 직접 관련되는 부분에 대해 중국이 방중한 김 위원장에 '선물'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박 교수는 "북·중 무역수지는 제재 때문에 당장 개선하기 어렵고, 수산물·의류 임가공·인력수출·관광을 비롯한 무역 외 수지에서 선물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김준형 교수는 "제재는 지속하겠지만 북한이 종전 같은 도발을 하지 않는 이상 더 타이트해지긴 힘들고, 중국과 러시아가 전면적인 제재 완화를 하지는 못하겠지만 제재가 느슨해질 순 있다"며 "그러려면 중국의 도움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