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병석 칼럼] 30년 최저임금 준 사장은 죄인인가
김동석 사장(59)은 고향인 전남 순천에서 열네 살 때 서울로 올라와 무교동 의상실에 취직했다. 미싱 시다(재봉틀 보조)로 시작해 의류 봉제 일을 한 지 45년째다. 그의 아내도 미싱공 출신이다. 중학교 졸업 후 시골에서 상경해 YH봉제공장에서 일을 배웠다. 두 사람은 결혼해 1989년 서울 중랑구 면목동에 직원 네 명의 봉제공장을 열었다. 의류회사에서 디자인한 옷을 재단하고 봉제하는 공장이다.

직원이 23명으로 불어난 이 공장엔 김 사장 가족이 모두 나와 일한다. 부인은 아직도 재봉틀을 돌린다. 큰아들은 사무실에서, 둘째 아들은 생산라인에서 온갖 잡일을 다 한다. 김 사장도 영업을 뛰다가 공장에 들어가선 원단을 나른다. 네 가족이 매달려 있지만 이 공장은 수년째 적자다. 월 매출이 7000만원은 돼야 직원 월급 주고, 임차료를 낼 수 있다. 하지만 작년 이후 월 매출은 매번 5000만원을 겨우 넘기고 있다.

일감이 줄고 있어서다. 티셔츠 하나를 봉제하는 데 국내 공장의 공임(工賃)은 2500원이다. 베트남에선 800원이면 만든다. 국내 공장에 일감이 늘 리 없다. 작년부터는 최저임금까지 급격히 올라 경영압박이 심하다. 적자를 메우기 위해 은행에서 빌린 돈만 5억원이 넘는다.

직원들에겐 늘 미안하다. 최저임금에 맞춰 월급을 주는 직원은 30년 가까이 함께 일한 여섯 명뿐이다. 나머지 직원에겐 최저임금도 못 준다. 김 사장의 두 아들도 마찬가지다. 군말 없이 일해주는 직원들이 고마울 따름이다.

사람들은 공장을 접으라고 한다. 그러나 나이 든 직원들 얼굴을 보면 그럴 수가 없다. 50, 60대 여성이 대부분인 직원들은 이 공장이 문을 닫으면 갈 곳이 없다. 김 사장은 “배운 거라곤 재봉틀 돌리는 거밖에 없고, 손은 자꾸 느려지는 저 직원들을 두고 어떻게 공장 문을 닫느냐”고 말한다. 그는 “소원이 있다면 평생을 바친 봉제공장을 쌩쌩 돌리며 직원들에게 한 달에 1000만원씩 봉급을 주는 것”이라고 했다.

그런 김 사장이 졸지에 ‘악덕 사장’으로 유명해졌다.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지난주 jtbc 토론에서 언급한 ‘30년간 최저임금 준 사장’이 바로 그다. 유 이사장은 토론에서 “최저임금이 너무 올라 30년 함께 일해온 직원을 눈물을 머금고 해고했다는 기사를 보고 눈물이 났다. 아니, 30년을 한 직장에서 데리고 일을 시켰는데 어떻게 30년 동안 최저임금을 줄 수가 있냐”고 했다.

이 발언이 화제가 되면서 관련 기사엔 댓글이 수백 개씩 달렸다. ‘밑바닥 노동자들의 고혈을 착취한 자는 누구냐’ ‘자기는 벤츠 타고 골프 치러 다니면서 최저임금도 안 주나’ ‘최저임금으로 버티는 사업자는 빨리 망해야 한다’는 등의 악플이 대부분이었다.

김 사장에게 기사 댓글을 봤느냐고 물었더니 “망하는 건 쉬운 줄 아느냐”고 한숨을 내쉬었다. 공장을 폐업하면 당장 은행 빚부터 갚아야 하는데, 재산이라곤 20년 전 산 경기 구리시의 33평 아파트가 전부란다. 이 집을 팔아도 은행 대출 5억원을 다 갚지 못한다. 김 사장은 “우리 같은 봉제공장이 중랑구에만 1만 개를 넘는다. 내가 아는 사장들 90% 이상이 신용불량자다”고 전했다.

이런 취약업종은 봉제뿐만 아니다. 주조 금형 용접 등 소위 뿌리산업의 수많은 소기업이 비슷한 처지다. 이들을 도우려면 업종 특성에 맞게 인력과 설비 등 인프라를 지원해 경쟁력을 높여주든지, 아니면 이들 업종 종사자들이 다른 질 좋은 일자리를 얻을 수 있게 새 산업을 키워줘야 한다.

업종 특성을 무시한 일률적 최저임금 인상은 취약산업을 더 취약하게 할 뿐이다. 그 결과는 서민들의 일자리를 파괴하고, 그들의 생계를 위협한다. 이게 불편한 진실이자 엄혹한 현실이다. 30년간 일한 직원에게 최저임금밖에 못 준 김 사장을 향해 과연 돌을 던질 수 있을까.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