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들의 블라인드 채용과 대기업 취업을 위한 ‘돌취생’들의 증가 그리고 취업을 위한 스펙을 쌓는 기간이 늘어나면서 신입사원들의 연령이 갈수록 고령화 되고 있다. 실제로 취업포털 사람인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신입사원 10명 중 4명은 연령대가 3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인이 지난해 신입사원을 채용한 기업 431개사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다. 30대 지원자 비율은 더 높았다. 인사담당자 77.7%는 “신입사원 지원자 가운데 30대가 있었다”고 응답했다. 또한, 2017년과 비교해 보면 37.9%가 ‘증가했다’고 답해 ‘감소했다’(7.5%)는 응답의 5배에 달했다.
응시자가 늘면서 최종 합격한 30대 비율도 전체 38.4%로 높아졌다. 기업 형태별로는 중소기업(39.9%), 중견기업(32.6%), 대기업(25.4%)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30대 고령자 신입사원에 대해 인사담당자들은 대체로 만족했다. 가장 만족도가 높은 이유는 ‘20대보다 높은 업무 이해도(35.7%, 복수응답)’였다. 이밖에 ‘연륜에 따른 적당한 처세’(31.8%), ‘조직 적응력’(31.8%), 근속의지 및 충성도(25.3%) 등도 이유에 속했다. 하지만, ‘열정’(21.1%), ‘개방적 사고’(15.8%), ‘체력’(11.4%) 등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답변했다.
한편,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신입사원 입사연령의 하한선을 남성 32세, 여성 31세라고 응답했다.
공태윤 기자 true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