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밀착으로 '후방'다진 김정은…북미협상서 중국변수 주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미정상회담 앞서 中지지 확보…'경제협력'·'평화협상 中참여' 논의한듯
'북미협상 임박' 기대 커졌지만 주한미군 등 관련 中목소리 커질 가능성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새해 벽두 중국 방문을 통해 수교 70주년을 맞은 북중관계를 더욱 밀착시킴으로써 북미협상에 앞서 '후방'을 다진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 변수'가 다가올 북미 협상에 어떻게 작용할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했다.
김 위원장의 방중은 북한 입장에서 비핵화 조치와 제재 완화 등 상응 조치의 '빅딜'을 모색할 북미 정상회담에 앞선 '작전회의'이자, '후방 다지기'였다는 것이 많은 전문가들의 평가다.
김 위원장 생일인 지난 8일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이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에서 4시간에 이르는 연회를 베푼 것은 북중 간 밀착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또 김 위원장이 베이징 경제기술개발구 내 생약 제조업체인 동인당(同仁堂·통런탕) 공장을 전격 방문한 것은 중국 방문의 목적 중 하나가 '경제'에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김 위원장 베이징 행보가 북미협상에 시사하는 바는 작지 않아 보인다.
우선 김 위원장은 이번 방중과 북중정상회담(8일)을 통해 '혈맹' 중국에 대북제재 하에서의 가능한 경협 및 대북지원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 앞으로 북한의 경제 발전을 위한 대북제재 해제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 줄 것을 요구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와 더불어 북미 협상이 여의치 않을 경우 중국이 정치·경제적으로 도와달라고 요구했을 수도 있다.
이는 미국과 협상에 앞서 자신의 '플랜B'로 중국이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도 해석된다.
김 위원장이 신년사를 통해 미국의 제재·압박이 계속될 경우 가게 될 수 있다고 언급한 '새로운 길'의 예고편을 보여준 것일 수 있는 셈이다.
그리고 이번 북중정상회담에서는 앞으로 열릴 북미정상회담에서 논의할 바에 대한 '작전 협의'가 이뤄졌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 북·중이 뜻을 같이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의 '단계적·동시적' 해법을 재확인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김 위원장은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내놓을 비핵화 조치와 미국으로부터 받아내려는 상응 조치에 대한 목표를 시 주석에게 거론했을 것으로 보인다.
신년사에서 시사한 바대로 중국을 포함한 한반도 평화체제 4자 협상 카드를 북미협상에서 꺼내는 문제를 논의했으리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 과정에서 65년 이상 정전체제를 지탱해온 유엔군사령부와 주한미군의 '현상 변경'이나 한미 연합훈련 및 미국의 전략자산 한반도 주변 전개 중단 등과 관련해 북중 양측이 이해의 일치를 봤을 수도 있다.
이렇듯 김 위원장의 방중과 그에 따라 부상한 중국 변수가 갖는 함의는 다중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 만큼 김 위원장의 새해 벽두 '깜짝 방중'이 한반도의 미래를 논의할 4자(남북미중) 협상 틀이 조기에 구축되고 북미 협상을 촉진하는 결과로 연결되리라는 기대도 존재하지만, 한반도 관련 협상의 방정식이 더 복잡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결국 '중국 변수'가 한반도 정세에 플러스가 될지, 마이너스가 될지는 속단키 어려워 보인다.
향후 북미협상 과정을 지켜봐야 판단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연합뉴스
'북미협상 임박' 기대 커졌지만 주한미군 등 관련 中목소리 커질 가능성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새해 벽두 중국 방문을 통해 수교 70주년을 맞은 북중관계를 더욱 밀착시킴으로써 북미협상에 앞서 '후방'을 다진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 변수'가 다가올 북미 협상에 어떻게 작용할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했다.
김 위원장의 방중은 북한 입장에서 비핵화 조치와 제재 완화 등 상응 조치의 '빅딜'을 모색할 북미 정상회담에 앞선 '작전회의'이자, '후방 다지기'였다는 것이 많은 전문가들의 평가다.
김 위원장 생일인 지난 8일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이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에서 4시간에 이르는 연회를 베푼 것은 북중 간 밀착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또 김 위원장이 베이징 경제기술개발구 내 생약 제조업체인 동인당(同仁堂·통런탕) 공장을 전격 방문한 것은 중국 방문의 목적 중 하나가 '경제'에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김 위원장 베이징 행보가 북미협상에 시사하는 바는 작지 않아 보인다.
우선 김 위원장은 이번 방중과 북중정상회담(8일)을 통해 '혈맹' 중국에 대북제재 하에서의 가능한 경협 및 대북지원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 앞으로 북한의 경제 발전을 위한 대북제재 해제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 줄 것을 요구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와 더불어 북미 협상이 여의치 않을 경우 중국이 정치·경제적으로 도와달라고 요구했을 수도 있다.
이는 미국과 협상에 앞서 자신의 '플랜B'로 중국이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도 해석된다.
김 위원장이 신년사를 통해 미국의 제재·압박이 계속될 경우 가게 될 수 있다고 언급한 '새로운 길'의 예고편을 보여준 것일 수 있는 셈이다.
그리고 이번 북중정상회담에서는 앞으로 열릴 북미정상회담에서 논의할 바에 대한 '작전 협의'가 이뤄졌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 북·중이 뜻을 같이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의 '단계적·동시적' 해법을 재확인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김 위원장은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내놓을 비핵화 조치와 미국으로부터 받아내려는 상응 조치에 대한 목표를 시 주석에게 거론했을 것으로 보인다.
신년사에서 시사한 바대로 중국을 포함한 한반도 평화체제 4자 협상 카드를 북미협상에서 꺼내는 문제를 논의했으리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 과정에서 65년 이상 정전체제를 지탱해온 유엔군사령부와 주한미군의 '현상 변경'이나 한미 연합훈련 및 미국의 전략자산 한반도 주변 전개 중단 등과 관련해 북중 양측이 이해의 일치를 봤을 수도 있다.
이렇듯 김 위원장의 방중과 그에 따라 부상한 중국 변수가 갖는 함의는 다중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 만큼 김 위원장의 새해 벽두 '깜짝 방중'이 한반도의 미래를 논의할 4자(남북미중) 협상 틀이 조기에 구축되고 북미 협상을 촉진하는 결과로 연결되리라는 기대도 존재하지만, 한반도 관련 협상의 방정식이 더 복잡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결국 '중국 변수'가 한반도 정세에 플러스가 될지, 마이너스가 될지는 속단키 어려워 보인다.
향후 북미협상 과정을 지켜봐야 판단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