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증시급락에 'FOMC 위원들' 겁 먹었다"
지난달 미국 증시의 급락으로 미 중앙은행(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이 겁을 먹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금리인상보다 더 시장이 집중하고 있는 Fed의 자산긴축에 대한 논의도 공개적으로 시작될 것이란 전망이다.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1일 "12월 FOMC 의사록이 발표됐다"며 "그간 예상보다 매파적(hawkish)이라고 평가됐던 회의였지만 의사록 면면을 살펴보니 주식시장 급락으로 연준 위원들이 겁을 먹었다는 것이 느껴졌다"고 분석했다.

이어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의 폭과 시기도 예전과 달리 명확하지 않은 데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이 없어 인내심을 가져도 된다는 문구까지 등장했다"고 강조했다.

주식시장 참여자들이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자산긴축에 대해서는 "어차피 Fed가 기준금리를 많이 못올린다는 건 이미 알려진 상황이라서 앞으로는 자산긴축 중단
여부가 중요해졌다"라고 설명했다. 금리를 안 올린다고 해도 보유채권을 계속 내다팔면 사실상 시중의 유동성을 흡수하는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박 연구원은 "일단 자산긴축을 당장 중단하겠다는 언급은 없었다"면서도 "다만 이전 의사록에서 보지 못했던 매우 구체적인 논의가 오간 흔적이 있다"고 강조했다.

의사록에 따르면 '연준이 미국 국채를 보유하게 되면서 통화정책과 사실 관계가 없는 비준비금(non-reserve) 성격의 부채(Treasury liabilities)를 많이 보유하게 되면서 자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됐다' '이것이 지금까지는 사회적 편익(social benefits)을 제공했지만, 앞으로는 이러한 상황을 팩트와 함께 대중에 공개해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논의가 오갔다.

박 연구원은 "이 외에도 △보유 국채의 만기 구조를 다양화해야 한다 △국채 유통시장의 만기와 연준 보유채권 만기 구조를 일치시켜야 한다 △MBS는 향후 몇 년간 점진적인 매각(passive runoff) 방식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나왔다"고 전했다.

특히 국채(Treasury)의 수요를 감안해 연준의 보유채권 매각 계획을 짜야 한다는 의견은 상당히 흥미로웠다는 것. 공급이 수요를 초과했을 때 나타나는 부작용(국채 가격 급락, 금리 급등)을 우려하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그는 "이것은 연준이 조만간 자산긴축에 대해 공개적인 의견 교환을 시작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라며 "자산긴축 중단도 어느 정도는 고려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고 내다봤다. 이어 "지난 4일 '인내심에 보유자산(balance sheet) 이슈도 포함되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것과 일맥 상통하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만약 연준이 자산 규모를 4조달러로 유지하려면 3월엔 자산 긴축을 중단해야 한다고 박 연구원은 분석했다. 그는 "12월 말 기준 연준의 자산이 4조760억달러였는데 매달 350억달러씩 보유채권을 매각한다고 가정하면 3월이면 4조달러 이하로 내려가기 때문"이라며 "빠르게 진행될 경우 1월 회의에 운을 띄우고 3월에 움직일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 이렇게 되면 작년과 달리 3개 중앙은행의 자산 증가율이 크게 안정화될 수 있다.

이어 "2018년은 3개 중앙은행 모두 자산 증가율이 우하향하며 위험자산 전반에 큰 부담을 줬지만, 2019년은 다를 가능성이 생겼다"면서 "과도한 비관론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정현영 한경닷컴 기자 j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