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불확실성지수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 이후 가장 높아
커지는 경기 우려…"세계 경제 불확실성, 1997년 이후 최고"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며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1997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12일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 홈페이지를 보면 지난달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는 377.3으로 나타났다.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는 스콧 베이커 노스웨스턴대 조교수, 닉 블룸 스탠퍼드대 교수, 스티븐 데이비스 시카고대 부스경영대학원 교수가 개발한 지표로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등 20개국의 경제, 무역, 경제정책, 정부, 중앙은행 등과 관련한 기사에 불확실성이 언급된 빈도 등을 반영해 산출한다.

경제 불확실성과 관련한 연구에 널리 활용되고 있기도 하다.

지난달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7년 이후 최고치였다.

세계 경제를 둘러싼 먹구름이 짙어진 것은 미중 무역분쟁이 지속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가 꺾이고 있다는 우려가 확산한 탓으로 보인다.

지난달 중순 발표된 중국의 작년 11월 소매판매 증가율은 시장 전망을 크게 밑돌며 2003년 5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산업생산도 시장 예상을 하회했다.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의 성장세에 '노란불'이 들어오며 시장의 불안은 커졌다.

지난달 중순 미국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일제히 지난해 10월 고점 대비 10∼20% 하락하며 조정 국면에 들어간 것으로 평가받았다.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속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올해 금리 인상 전망 횟수를 3회에서 2회로 하향 조정하기도 했다.

미중 갈등의 불씨가 여전한 영향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과 중국이 지난달 초 무역 전쟁을 90일 휴전하기로 했지만 멍완저우(孟晩舟) 화웨이 최고재무책임자(CFO)가 미국의 요청으로 캐나다에서 체포됐다 풀려나는 등 마찰을 빚기도 했다.
커지는 경기 우려…"세계 경제 불확실성, 1997년 이후 최고"
한편 지난달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는 243.0으로 조사됐다.

이는 헌법재판소가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인용을 결정하기 직전인 2017년 2월(299.7) 이후 최고치다.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 미중 무역 전쟁이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암운을 드리우는 모양새다.

그간 경제 성장을 이끈 반도체 경기 하락세가 점차 뚜렷해진 탓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제 불확실성은 가계, 기업 등의 소비, 투자·고용과 관련한 결정을 지연시켜 실제로 성장률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는다.

문제는 올해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한층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달 초 범금융 신년 인사회에서 "지난해 미중 무역분쟁,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신흥국 금융 불안 등으로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았던 한해였다"면서도 "지난해 겪었던 대외여건의 어려움이 올해에도 이어지면서 글로벌 경기 둔화 움직임이 뚜렷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