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번 주(14~18일) 코스피지수는 박스권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장기화와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 표결과 같은 정치적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서다. 지난해 4분기 국내 기업들의 이익이 추가로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도 지수 상단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피지수는 전주보다 65.32포인트(3.24%) 상승한 2075.57에 장을 마쳤다. 코스피는 미중 무역협상 타결 기대감에 상승세로 출발했다. 주 후반에는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금리인상 지연 발언을 내놓으면 상승세에 힘을 실었다. 코스닥지수도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686.33으로 마감했다.

이번주는 글로벌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경계심리가 확산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소폭 하락 마감했다. 셧다운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진 데 따른 여파다.

역대 최장기록을 넘어선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은 좀 더 계속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민주당의 대립이 지속되고 있어서다. 스탠다드앤푸어스(S&P)는 셧다운이 2주 더 이어지면 경제적 손실이 6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코스피도 미국 셧다운 장기화 우려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하나금융투자는 이번주 코스피 밴드에 대해 2030~2080을, KTB투자증권은 2030~2100을 각각 제시했다. NH투자증권은 2020~2100으로 전망했다.

이재선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셧다운 사태가 장기적으로 접어든다면 미국은 경제적으로 타격이 불가피하며, 이는 펀더멘털 선행지표 격인 증시에 있어 부담이 되는 부분"이라며 "무디스는 2013년 오바마케어로 인한 셧다운(2013년 10월1일~17일)은 200억달러 상당 피해액을 초래했으며, 4분기 성장률을 0.5%포인트 잠식한 것으로 추산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브렉시트 안건 투표도 장기적인 정치적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15일(현지시간) 브렉시트 합의안에 대한 영국 하원 투표도 진행된다. 보수당 의원 중 다수(59%)가 현안을 반대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오는 등 부결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원은 "안건이 부결되면 3가지 시나리오가 있는데 그 중 '무질서한 탈퇴'로 정의되는 노딜 브렉시트(영국이 EU와 협정을 맺지 못하고 3월 29일 탈퇴)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노딜 브렉시트 현실화 시 영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부각될 것으로 판단, 영국 경제가 2008년 금융위기 충격 이상의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4분기 국내 기업의 실적 눈높이가 하향 조정되고 있다는 점도 우려 요인이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코스피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38조2000억원, 28조2000억원으로, 지난 5년간 4분기 어닝쇼크 수준을 감안하면 추가 감익이 전망된다"며 "한 달 전과 비교해 정유 반도체 기계 운송 제약·바이오 업종의 4분기 실적 전망 하향 조정 폭이 확대됐고, 4주 전 대비 하향 조정되고 있는 중"이라고 분석했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시장 분위기는 대외 훈풍과 함께 반등을 타진하는 모습이나 실적 펀더멘털은 여전히 바닥확인이 요원해 당분간 일진일퇴 공방전 과정이 불가피하다"며 "코스피 2000선을 경계로 바닥을 본 것은 분명하나 글로벌 매크로 자신감 회복과 함께 국내 실적 눈높이 하향 조정 기류 안정화 여부가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코스피는 전반적으로 박스권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김용구 연구원은 "국내 실적 경계감은 반도체를 위시한 IT섹터의 총체적 부진이 주도하고 있으며, 추세변화를 위해선 매출수정비율로 대표되는 글로벌 경기 및 회복이 절실하다"며 "글로벌 경기 모멘텀 바닥확인 여부가 선결과제지만 매크로 바닥 징후는 여전히 불분명한 상황으로, 제한적 반등과 단기 조정이 교차하는 박스권 교착상태 지속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고 했다.

김병연 연구원도 "올해 불투명한 기업실적에 대한 확인 욕구, 경기선행 지수의 추가 하락 가능성, 부정적 경기 지표 확인 등은 지수 상단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지수는 좁은 박스권 흐름이 예상된다"며 "미중 무역분쟁 및 중국 정책 모멘텀에 따른 소재와 산업재, 상사 및 자본재 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