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없는 버스 승하차 언제쯤 될까…서울시, 기술 검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비콘 방식으로 스캐너가 자동 인식…내년 실증 사업 추진
버스 승·하차 시 차내 단말기에 교통카드나 스마트폰을 대지 않아도 요금 결제가 가능해질까.
서울시가 시내버스에 태그가 필요 없는 승·하차 및 환승 시스템 구축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예산과 기술적 문제로 인해 단기간 내 도입은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기술 검토를 거쳐 내년 실증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실증 사업에서 기술 안정성과 필요성이 검증되면 2021년부터 확대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이런 내용은 서울시가 지난 11일 공개한 '서울시정 4개년(2019∼2022) 계획'에 담겼다.
서울시의 태그 없는 버스 승·하차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망 기술인 비콘(Beacon)을 기반으로 한다.
비콘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단말기 간 신호를 주고받는 기술이다.
교통카드에 많이 쓰이는 태그 방식의 NFC 기술은 10∼20㎝ 이내 통신만 가능하지만 비콘의 통신 거리는 50∼70m에 달한다.
서울시는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을 활용해 태그 없이 자동으로 요금이 결제되는 시스템을 검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 승·하차 문에 각각 설치된 스캐너가 승객의 스마트폰을 인식해 승·하차 시간과 장소를 파악해 과금하는 방식이다. 유사한 방식은 이미 곳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스타벅스는 고주파 기반의 비콘을 이용해 소비자의 매장 입장 시간을 파악하고, 스마트폰 앱을 통한 주문과 결제도 가능하게 했다.
숙명여대는 2017년 1학기부터 비콘을 이용해 자동으로 수업 출석 여부를 파악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어린이집 통학버스에 설치된 '잠자는 아이 확인장치'에도 비콘 방식이 적용됐다.
하지만 서울 시내버스는 2017년 기준 약 7천405대, 노선 수는 354개, 이용자는 하루 평균 420만명에 달한다.
적용 범위가 넓다 보니 구축 비용이 만만치 않은 데다 무임승차 등 다양한 상황을 가정한 기술 안정성 검증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초기 예산 확보부터 난관에 부닥친 상황이다.
서울시는 애초 올해 기술 검토에 5천만원의 예산을 배정했지만, 시의회에서 삭감되면서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시 관계자는 "전문가들과 몇 차례 회의했지만 아직은 시행을 전제로 한 검토 단계는 아니다"라며 "우선 올해 해외 사례 등을 검토한 뒤 내년 예산 편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시내버스에 태그가 필요 없는 승·하차 및 환승 시스템 구축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예산과 기술적 문제로 인해 단기간 내 도입은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기술 검토를 거쳐 내년 실증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실증 사업에서 기술 안정성과 필요성이 검증되면 2021년부터 확대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이런 내용은 서울시가 지난 11일 공개한 '서울시정 4개년(2019∼2022) 계획'에 담겼다.
서울시의 태그 없는 버스 승·하차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망 기술인 비콘(Beacon)을 기반으로 한다.
비콘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단말기 간 신호를 주고받는 기술이다.
교통카드에 많이 쓰이는 태그 방식의 NFC 기술은 10∼20㎝ 이내 통신만 가능하지만 비콘의 통신 거리는 50∼70m에 달한다.
서울시는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을 활용해 태그 없이 자동으로 요금이 결제되는 시스템을 검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 승·하차 문에 각각 설치된 스캐너가 승객의 스마트폰을 인식해 승·하차 시간과 장소를 파악해 과금하는 방식이다. 유사한 방식은 이미 곳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스타벅스는 고주파 기반의 비콘을 이용해 소비자의 매장 입장 시간을 파악하고, 스마트폰 앱을 통한 주문과 결제도 가능하게 했다.
숙명여대는 2017년 1학기부터 비콘을 이용해 자동으로 수업 출석 여부를 파악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어린이집 통학버스에 설치된 '잠자는 아이 확인장치'에도 비콘 방식이 적용됐다.
하지만 서울 시내버스는 2017년 기준 약 7천405대, 노선 수는 354개, 이용자는 하루 평균 420만명에 달한다.
적용 범위가 넓다 보니 구축 비용이 만만치 않은 데다 무임승차 등 다양한 상황을 가정한 기술 안정성 검증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초기 예산 확보부터 난관에 부닥친 상황이다.
서울시는 애초 올해 기술 검토에 5천만원의 예산을 배정했지만, 시의회에서 삭감되면서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시 관계자는 "전문가들과 몇 차례 회의했지만 아직은 시행을 전제로 한 검토 단계는 아니다"라며 "우선 올해 해외 사례 등을 검토한 뒤 내년 예산 편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