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각국 '미세먼지 전쟁'…물대포·인공강우·폭죽 금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태국 방콕, 수송기 이용 3천 리터 '인공비' 하늘에서 살포 계획
베이징, 미세먼지 유발 폭죽 구입 실명제…톈진, 춘제 때 폭죽 금지
인도, 노후경유차 운행 제한…"경기 우려에 대증요법만 시행" 지적도 아시아 여러 나라가 한바탕 '미세먼지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의 유해성이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겨울이라는 계절적 특성 등으로 심각성이 커지면서 각국 정부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대책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이다.
다만 '경제활동 위축'을 우려한 단기적·대증적 대책이 주를 이루고 있어서 근원적인 해법 마련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태국의 수도 방콕은 최근 미세먼지 줄이기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는 도시 중 한 곳이다.
15일 방콕포스트와 더 네이션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방콕시 당국은 이르면 이날 저녁부터 방콕시 일대 상공에서 인공강우를 실시할 예정이다.
최소한 18일까지 진행될 예정인 이번 인공강우를 위해 두 대의 항공기가 배치될 예정이다.
태국 공군은 또 산불진압용으로 주로 사용하는 BT-67 수송기를 방콕 돈므앙 공항에 배치했다.
진화용 장치를 개조해 산불 소화제 대신 정화된 물을 하늘에서 뿌린다는 계획이다.
태국 공군 대변인은 "수송기 한 대당 약 3천 리터의 물을 뿌릴 수 있다"면서 "물은 깨끗해서 시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콕시 소방당국은 앞서 지난 14일에는 시청 앞에 화재진압용으로 사용하는 초고압 물대포를 설치, 하늘을 향해 물을 분사하기도 했다. 중국도 매년 난방철에 찾아오는 '미세먼지 대란'에 골머리를 앓는 나라로 악명이 높다.
중국 수도 베이징(北京)은 지난 12일의 경우, 공기 질이 6단계 가운데 최악 등급(엄중오염)이었다.
시내 일부 지역에서는 한때 초미세먼지(PM -2.5) 시간당 농도가 500㎍/㎥를 초과하기도 했다.
환경업계 관계자는 "이는 바로 앞의 건물이 잘 안 보일 정도며 자동차 배기 구멍에 코를 대고 맡는 수준의 오염이다"라고 설명했다.
징진지(京津冀,베이징·톈진·허베이의 약칭) 중남부와 허난성, 산시(山西) 등지는 지난 10일부터 심각한 오염에 시달렸다.
중국 남부에도 2급 경보인 스모그 오렌지색 경보가 발효됐다.
공기 오염이 개선되지 않자 베이징시 당국은 춘절(春節·설) 때마다 폭죽놀이로 대기오염이 심해지는 점을 고려해 올해부터 폭죽 구입 실명제로 규제를 강화했다.
베이징시는 이와 함께 폭죽 소매점을 80개에서 30개로 줄일 예정이다.
5환 도로 안쪽으로는 아예 판매점을 없앴다.
베이징뿐만 아니라 중국의 여러 도시가 춘제 때 폭죽을 금지하는 조치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베이징과 이웃한 톈진은 다가오는 춘제에 시 전역에서 폭죽을 금지했다.
신도시인 허베이성 슝안신구도 올해 춘제에 폭죽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세계 최악의 대기오염으로 악명 높은 인도 뉴델리시도 다양한 미세먼지 대책을 강구 중이다.
인도 대법원은 지난해 10월 수도권(델리-NCR)에서 각각 차령 10년과 15년 이상된 경유(디젤)차와 휘발유차의 운행을 전면 금지하라는 명령을 내린 바 있다.
아울러 뉴델리 당국은 지난해 말 대기오염 악화와 관련해 파이프천연가스(PNG) 시설을 구비하지 않은 113개 산업시설에 가동중단 명령을 내렸다.
인도 환경당국은 겨울철 대기오염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난해 11월 초 열흘간 수도권 내 땅파기를 포함한 모든 건설현장 공사를 중단시키기도 했다.
또 농부들의 논밭 태우기, 도심 빈민의 쓰레기 노천 소각 등에 대한 단속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세먼지 줄이기가 경제 활동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각국 정부의 우려 때문에 의미있는 결과물을 얻기 힘들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예컨대 베이징생태환경국이 올해 초 발표한 베이징의 2018년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51㎍/㎥로 1년 전보다 12.1%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난해 11월부터는 베이징을 포함한 중국 여러 지역의 오히려 악화했다는 분석이 있다.
그린피스는 지난달 공식 자료를 분석해 베이징의 2018년 10∼11월 초미세먼지 농도가 전년 동기보다 10% 높아졌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도 중국 공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베이징과 톈진, 허베이성을 일컫는 이른바 징진지 지역 28개 도시의 지난해 11월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90.8㎍/㎥로 47% 상승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중국이 미중 무역전쟁 등에 따른 경기 하방압력과 성장 둔화를 타개하기 위해 환경 규제정책을 완화해 공기 질 개선 속도를 늦춘 데 영향을 받았다고 보는 전문가가 많다.
지난 2016년 동남아시아 주요 도시 중에서 두 번째로 공기 질이 나쁘다는 '불명예'를 안았던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는 2030년까지 시내 오토바이 운행을 전면 금지하는 야심 찬 계획을 세웠지만, 경제적 현실성을 고려할 때 실현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로이터제공]
/연합뉴스
베이징, 미세먼지 유발 폭죽 구입 실명제…톈진, 춘제 때 폭죽 금지
인도, 노후경유차 운행 제한…"경기 우려에 대증요법만 시행" 지적도 아시아 여러 나라가 한바탕 '미세먼지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의 유해성이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겨울이라는 계절적 특성 등으로 심각성이 커지면서 각국 정부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대책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이다.
다만 '경제활동 위축'을 우려한 단기적·대증적 대책이 주를 이루고 있어서 근원적인 해법 마련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태국의 수도 방콕은 최근 미세먼지 줄이기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는 도시 중 한 곳이다.
15일 방콕포스트와 더 네이션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방콕시 당국은 이르면 이날 저녁부터 방콕시 일대 상공에서 인공강우를 실시할 예정이다.
최소한 18일까지 진행될 예정인 이번 인공강우를 위해 두 대의 항공기가 배치될 예정이다.
태국 공군은 또 산불진압용으로 주로 사용하는 BT-67 수송기를 방콕 돈므앙 공항에 배치했다.
진화용 장치를 개조해 산불 소화제 대신 정화된 물을 하늘에서 뿌린다는 계획이다.
태국 공군 대변인은 "수송기 한 대당 약 3천 리터의 물을 뿌릴 수 있다"면서 "물은 깨끗해서 시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콕시 소방당국은 앞서 지난 14일에는 시청 앞에 화재진압용으로 사용하는 초고압 물대포를 설치, 하늘을 향해 물을 분사하기도 했다. 중국도 매년 난방철에 찾아오는 '미세먼지 대란'에 골머리를 앓는 나라로 악명이 높다.
중국 수도 베이징(北京)은 지난 12일의 경우, 공기 질이 6단계 가운데 최악 등급(엄중오염)이었다.
시내 일부 지역에서는 한때 초미세먼지(PM -2.5) 시간당 농도가 500㎍/㎥를 초과하기도 했다.
환경업계 관계자는 "이는 바로 앞의 건물이 잘 안 보일 정도며 자동차 배기 구멍에 코를 대고 맡는 수준의 오염이다"라고 설명했다.
징진지(京津冀,베이징·톈진·허베이의 약칭) 중남부와 허난성, 산시(山西) 등지는 지난 10일부터 심각한 오염에 시달렸다.
중국 남부에도 2급 경보인 스모그 오렌지색 경보가 발효됐다.
공기 오염이 개선되지 않자 베이징시 당국은 춘절(春節·설) 때마다 폭죽놀이로 대기오염이 심해지는 점을 고려해 올해부터 폭죽 구입 실명제로 규제를 강화했다.
베이징시는 이와 함께 폭죽 소매점을 80개에서 30개로 줄일 예정이다.
5환 도로 안쪽으로는 아예 판매점을 없앴다.
베이징뿐만 아니라 중국의 여러 도시가 춘제 때 폭죽을 금지하는 조치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베이징과 이웃한 톈진은 다가오는 춘제에 시 전역에서 폭죽을 금지했다.
신도시인 허베이성 슝안신구도 올해 춘제에 폭죽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세계 최악의 대기오염으로 악명 높은 인도 뉴델리시도 다양한 미세먼지 대책을 강구 중이다.
인도 대법원은 지난해 10월 수도권(델리-NCR)에서 각각 차령 10년과 15년 이상된 경유(디젤)차와 휘발유차의 운행을 전면 금지하라는 명령을 내린 바 있다.
아울러 뉴델리 당국은 지난해 말 대기오염 악화와 관련해 파이프천연가스(PNG) 시설을 구비하지 않은 113개 산업시설에 가동중단 명령을 내렸다.
인도 환경당국은 겨울철 대기오염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난해 11월 초 열흘간 수도권 내 땅파기를 포함한 모든 건설현장 공사를 중단시키기도 했다.
또 농부들의 논밭 태우기, 도심 빈민의 쓰레기 노천 소각 등에 대한 단속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세먼지 줄이기가 경제 활동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각국 정부의 우려 때문에 의미있는 결과물을 얻기 힘들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예컨대 베이징생태환경국이 올해 초 발표한 베이징의 2018년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51㎍/㎥로 1년 전보다 12.1%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난해 11월부터는 베이징을 포함한 중국 여러 지역의 오히려 악화했다는 분석이 있다.
그린피스는 지난달 공식 자료를 분석해 베이징의 2018년 10∼11월 초미세먼지 농도가 전년 동기보다 10% 높아졌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도 중국 공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베이징과 톈진, 허베이성을 일컫는 이른바 징진지 지역 28개 도시의 지난해 11월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90.8㎍/㎥로 47% 상승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중국이 미중 무역전쟁 등에 따른 경기 하방압력과 성장 둔화를 타개하기 위해 환경 규제정책을 완화해 공기 질 개선 속도를 늦춘 데 영향을 받았다고 보는 전문가가 많다.
지난 2016년 동남아시아 주요 도시 중에서 두 번째로 공기 질이 나쁘다는 '불명예'를 안았던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는 2030년까지 시내 오토바이 운행을 전면 금지하는 야심 찬 계획을 세웠지만, 경제적 현실성을 고려할 때 실현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로이터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