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ICT융합네트워크 "새로운 제조업 강국으로 도약하려면 제조시스템혁신 등 8대과제 추진 필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차산업혁명’시대라고 하는데 중소기업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까. 정부는 어떤 분야에 중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해야 하는가. 각 분야에서 ‘4차산업혁명’과 관련한 일반론에 대한 토론은 무성하지만 정작 경제주체별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각론은 찾아보기 힘들다. 제조업 경쟁력에 대한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런 문제를 연구해 온 학계·업계·연구소 등의 전문가 60여명이 7개월 동안 공동 연구한 결과가 나왔다.
한국공학한림원(회장 권오경)과 한국ICT융합네트워크(회장 주영섭·한순흥)는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회관에서 ‘스마트제조혁신전략’을 16일 발표했다. 이른바 ‘신제조업 전략’으로 명명된 이번 발표내용은 작년 6월부터 관련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공동 작업한 결과물이다. 이날 좌장을 맡은 주영섭 한국ICT융합네트워크 회장(사진)은 “제조업을 등한히해서는 희망이 없다”며 “일각에서 나오는 제조업 대신 서비스업 육성과 같은 얘기는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일축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도 제조업을 심화 발전시켜야 그위에 금융 서비스 등 여타 산업이 존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각국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 첨단화 전략을 수립 시행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 제조업을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3대 전략·8대 추진과제’로 요약했다. 이중 3대 전략은 글로벌화, 디지털 이노베이션, 제조생태계 혁신이다. 이를 통해 ‘신제조업 강국’으로 도약하자는 것이다. 8대 추진과제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 선행 △제조시스템 혁신 △제조 혁신을 위해 위험도가 높으나 파급효과가 큰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새로운 제조시스템 구축을 위한 금융 지원 확대 △인재 육성 △지역별 역량센터 구축 △산학연 R&D 협력을 통한 제조 생태계 강건화 △기업 문화 혁신이다.
주 회장은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의 비전은 디지털 혁신과 일자리 창출을 선도하는 신제조업 강국을 위한 것”이라며 “특히 정부의 역할 중 하나는 스마트 제조 혁신을 위한 인재 육성”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을 중소기업 스스로 대응하기엔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스마트 제조 혁신을 위한 역량센터 설립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센터는 관련 정보 제공, 교육, 시범공장 운영 등의 역할을 맡을 수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전략은 기존의 스마트공장 지원 위주 정책에 제품 혁신을 포함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 선행이 보완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 회장은 “기존의 대량생산 중심 공장에서 단순히 자동화에만 집중할 경우 일자리 감소를 막을 수 없다”며 “하지만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개인 맞춤형 제품 및 제조업 관련 신규 서비스 등을 개발해 글로벌 시장에 제공할 경우 양질의 일자리를 다수 창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낙훈 중소기업전문기자 nhk@hankyung.com
한국공학한림원(회장 권오경)과 한국ICT융합네트워크(회장 주영섭·한순흥)는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회관에서 ‘스마트제조혁신전략’을 16일 발표했다. 이른바 ‘신제조업 전략’으로 명명된 이번 발표내용은 작년 6월부터 관련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공동 작업한 결과물이다. 이날 좌장을 맡은 주영섭 한국ICT융합네트워크 회장(사진)은 “제조업을 등한히해서는 희망이 없다”며 “일각에서 나오는 제조업 대신 서비스업 육성과 같은 얘기는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일축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도 제조업을 심화 발전시켜야 그위에 금융 서비스 등 여타 산업이 존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각국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 첨단화 전략을 수립 시행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 제조업을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3대 전략·8대 추진과제’로 요약했다. 이중 3대 전략은 글로벌화, 디지털 이노베이션, 제조생태계 혁신이다. 이를 통해 ‘신제조업 강국’으로 도약하자는 것이다. 8대 추진과제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 선행 △제조시스템 혁신 △제조 혁신을 위해 위험도가 높으나 파급효과가 큰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새로운 제조시스템 구축을 위한 금융 지원 확대 △인재 육성 △지역별 역량센터 구축 △산학연 R&D 협력을 통한 제조 생태계 강건화 △기업 문화 혁신이다.
주 회장은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의 비전은 디지털 혁신과 일자리 창출을 선도하는 신제조업 강국을 위한 것”이라며 “특히 정부의 역할 중 하나는 스마트 제조 혁신을 위한 인재 육성”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을 중소기업 스스로 대응하기엔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스마트 제조 혁신을 위한 역량센터 설립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센터는 관련 정보 제공, 교육, 시범공장 운영 등의 역할을 맡을 수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전략은 기존의 스마트공장 지원 위주 정책에 제품 혁신을 포함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 선행이 보완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 회장은 “기존의 대량생산 중심 공장에서 단순히 자동화에만 집중할 경우 일자리 감소를 막을 수 없다”며 “하지만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개인 맞춤형 제품 및 제조업 관련 신규 서비스 등을 개발해 글로벌 시장에 제공할 경우 양질의 일자리를 다수 창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낙훈 중소기업전문기자 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