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온공주 '한글 문서' 美서 환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선 마지막 공주의 친필
문화재청, 자경전기 등 68점 매입
문화재청, 자경전기 등 68점 매입
‘조선의 마지막 공주’인 덕온공주(1822~1844)가 쓴 한글 문서(사진)가 고국으로 돌아왔다.
문화재청은 덕온공주가 한글로 쓴 ‘자경전기’와 ‘규훈’ 등을 지난해 11월 미국에서 사들여 국내에 들여왔다고 16일 밝혔다. 덕온공주는 조선 23대 임금 순조의 셋째 딸로, 윤씨 집안으로 시집갔다. 이번에 환수된 한글 자료는 덕온공주의 양자 윤용구와 손녀 윤백영 등 조선 왕실 후손이 3대에 걸쳐 작성한 한글 책과 편지, 서예작품 등 총 68점이다. 문화재청은 국립한글박물관에 이들 자료를 이관할 계획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덕온공주 집안의 한글 자료 귀환이 문화재 환수의 모범 사례”라고 자평했다. 국립한글박물관이 먼저 유물에 대한 정보를 발견·수집해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제공했고,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소장자와 접촉해 매입을 협상한 뒤 유물을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환수된 자료는 조선 왕실의 한글 문화를 보여주기도 한다. ‘자경전기’는 순조가 정조비 효의왕후의 명에 따라 창경궁 자경전에 대해 썼다. 이를 덕온공주가 한글로 번역해 작성했다. 정갈한 글씨에서 왕실의 기품과 단아한 성격이 그대로 묻어난다. 조선시대 여성들이 지켜야 할 덕목과 예절에 관해 쓴 ‘규훈’도 희소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왕실에서 작성한 한글 편지, 왕실 여성을 위한 한글 역사서도 다수 포함돼 있다. 덕온공주의 어머니 순원왕후가 사위 윤의선에게 딸의 근황을 묻는 편지를 비롯해 신정왕후, 명헌왕후, 철인왕후, 명성황후 등이 직접 쓰거나 상궁이 대필해 덕온공주 집안에 보낸 문서들이다. 조선 최고의 한글 명필로 알려진 궁중 여성 서기 이씨가 대필한 편지는 사료로서의 가치가 높은 편이다.
덕온공주의 손녀인 윤백영의 서예작품도 눈길을 끈다. 윤백영은 일제강점기에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한글 궁체로 쓴 서예작품으로는 처음 입선했다. 전통적인 한글 궁체를 현대적인 예술 작품으로 승화시킨 인물로도 평가받고 있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
문화재청은 덕온공주가 한글로 쓴 ‘자경전기’와 ‘규훈’ 등을 지난해 11월 미국에서 사들여 국내에 들여왔다고 16일 밝혔다. 덕온공주는 조선 23대 임금 순조의 셋째 딸로, 윤씨 집안으로 시집갔다. 이번에 환수된 한글 자료는 덕온공주의 양자 윤용구와 손녀 윤백영 등 조선 왕실 후손이 3대에 걸쳐 작성한 한글 책과 편지, 서예작품 등 총 68점이다. 문화재청은 국립한글박물관에 이들 자료를 이관할 계획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덕온공주 집안의 한글 자료 귀환이 문화재 환수의 모범 사례”라고 자평했다. 국립한글박물관이 먼저 유물에 대한 정보를 발견·수집해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제공했고,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소장자와 접촉해 매입을 협상한 뒤 유물을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환수된 자료는 조선 왕실의 한글 문화를 보여주기도 한다. ‘자경전기’는 순조가 정조비 효의왕후의 명에 따라 창경궁 자경전에 대해 썼다. 이를 덕온공주가 한글로 번역해 작성했다. 정갈한 글씨에서 왕실의 기품과 단아한 성격이 그대로 묻어난다. 조선시대 여성들이 지켜야 할 덕목과 예절에 관해 쓴 ‘규훈’도 희소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왕실에서 작성한 한글 편지, 왕실 여성을 위한 한글 역사서도 다수 포함돼 있다. 덕온공주의 어머니 순원왕후가 사위 윤의선에게 딸의 근황을 묻는 편지를 비롯해 신정왕후, 명헌왕후, 철인왕후, 명성황후 등이 직접 쓰거나 상궁이 대필해 덕온공주 집안에 보낸 문서들이다. 조선 최고의 한글 명필로 알려진 궁중 여성 서기 이씨가 대필한 편지는 사료로서의 가치가 높은 편이다.
덕온공주의 손녀인 윤백영의 서예작품도 눈길을 끈다. 윤백영은 일제강점기에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한글 궁체로 쓴 서예작품으로는 처음 입선했다. 전통적인 한글 궁체를 현대적인 예술 작품으로 승화시킨 인물로도 평가받고 있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