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카풀 백지화 카드 꺼낸 카카오…카풀·택시 대화 테이블 마련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카카오, 대화 위해 카풀 시범서비스 중단 결정
이어 카풀 사업 백지화까지 고려
사회적대타협기구 출범할 수 있을지 관심
택시업계 여전히 강경…"문건 의혹 해명해라"
이어 카풀 사업 백지화까지 고려
사회적대타협기구 출범할 수 있을지 관심
택시업계 여전히 강경…"문건 의혹 해명해라"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택시업계는 카풀 문제 해결과 택시산업 발전을 논의하기 위해 만들어진 사회적 대타협 기구' 참여 여부를 이번주 안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사회적대타협기구는 지난해 12월 말 택시업계의 불참으로 출범식 조차 열지 못했다. 카카오는 카풀 문제가 사회적대타협기구에서 논의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으나, 택시업계에서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셈이다. 택시 업계는 카카오가 그동안 진행해왔던 카풀 시범서비스를 중단해야 한다며 대화를 거부했다.
이에 카카오는 카풀 백지화 카드를 꺼내들었다. 15일 카카오는 "택시업계와 협력과 사회적 합의를 우선으로 한 결정"이라며 "대화에는 어떤 전제도 없으며 서비스 출시를 백지화할 수도 있다는 열린 자세로 대화에 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6일 국회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카풀이) 굉장히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라며 "당 차원에서 모두 관심을 갖고 이 문제가 잘 풀어질 수 있게 노력을 같이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택시업계는 여전히 강경한 입장이다. 카카오를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상 자가용 유상운송행위를 저지를 것으로 보고 고발하겠다는 입장까지 밝힌 상황이다.
또 다른 택시업계 관계자는 "국토부가 '내부 문건 보도'에 대해 납득할 조치를 하지 않는 한 택시는 사회적 대타협기구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