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페이 가장 많이 이용…서울시 "공개는 시기상조", 기업은 눈치보기
3월 정식 출시 앞두고 이용자·사용처 확대 '안간힘'
제로페이 한 달…가맹점 5만개 넘었지만 이용 실적은 '함구'
스마트폰 간편결제를 통해 소상공인의 결제수수료 부담을 0%까지 낮춘 서울시의 '제로페이' 서비스가 도입 한 달을 맞았다.

서울시가 이용 실적을 공개하지 않아 정확한 현황 파악은 어렵지만 초반 이용자는 많지 않은 것으로 추산된다.

서울시는 시기상조를 이유로 실적을 함구하고 있다.

하지만 미적지근한 초반 반응이 자칫 발목을 잡지 않을까 우려한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 서울 소상공인 업체 8% 신청…서울시 "실적 공개는 시기상조"
17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금까지 제로페이 가입 신청을 한 소상공인 사업체는 약 5만4천개로, 서울 전체 소상공인 사업체(66만개)의 8%를 차지한다.

20일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당시(2만∼3만개)보다 갑절가량 늘어난 규모다.

이중 실제 제로페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더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가맹신청을 한 뒤 QR 결제대 배송과 판매자 앱 설치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제로페이는 중간 단계 없이 소비자가 소상공인 계좌로 직접 대금을 이체하는 방식이다.

소비자가 네이버페이·페이코 등 간편결제 앱 4개와 15개 은행 앱을 이용해 매장에 비치된 QR코드를 인식하면 자동으로 계좌이체가 이뤄진다.
제로페이 한 달…가맹점 5만개 넘었지만 이용 실적은 '함구'
제로페이 이용 건수와 금액은 베일에 싸여있다.

서울시는 도입 초기인 만큼 공개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참여 기업들도 서울시 등 관계 기관과 협의해 개별 실적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며 입을 다물었다.

이용 실적은 네이버페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정식도 아닌 시범 서비스 한 달 만으로 유의미한 데이터를 얻기는 힘들어 당분간 실적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며 "시범 서비스는 실적 쌓기보다는 기술과 서비스 보완이 주목적"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초기 이용자가 워낙 적은 데다 업체 간 비교를 부담스러워 실적 공개를 안 한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 참여 업체 관계자는 "업체 간 실적 차이가 있어서 서로 공개를 꺼리는 분위기"라며 "도입 초기이기도 하고 가맹점 자체가 적다 보니 서울시도 본사업 전에 성과를 공개하기 부담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제로페이 한 달…가맹점 5만개 넘었지만 이용 실적은 '함구'
◇ 서울시 '법인용 제로페이' 추진…편의점 등 사용처 확대
서울시는 이용자 확대를 위해 각종 '당근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올해부터 카드결제 수수료율이 인하되는 데다 소득공제 40% 만으로는 소비자를 잡는 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지난 7일 BC·롯데·신한카드 3사가 QR결제 서비스를 시작하며 제로페이 견제에 나선 점도 부담이다.

서울시의 '시정 4개년 계획'에 따르면 서울시는 제로페이 이용액을 올해 8조5천300억원에서 2020년 17조601억원, 2021년 28조4천336억원, 2022년 42조6천504억원으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이용자 및 사용처 확대가 필수다.

서울시는 우선 시금고인 신한은행과 함께 시 직원들이 쓰는 법인용 제로페이 출시에 힘을 쏟고 있다.

기존 법인카드 대신 법인용 제로페이 앱을 만들어 직원들이 업무추진비나 사무관리비 지출에 쓰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하면 결제처들도 제로페이를 사용할 가능성이 커지고, 이용량이 늘어나는 선순환이 일어난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제로페이 한 달…가맹점 5만개 넘었지만 이용 실적은 '함구'
공무원 복지포인트 일부를 제로페이로 결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전통시장 상품권으로 지급하던 복지포인트 일부를 제로페이로 전환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서울시는 이밖에 서울대공원 입장료와 공공주차장에 제로페이 할인을 적용하고, 공공자금 집행이나 공공자전거 '따릉이' 이용료·서울시립대 등록금·시립병원 진료비 등도 제로페이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아동수당을 비롯한 각종 현금성 보조금과 민간위탁사업에 지원하는 보조금을 제로페이로 결제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시민 불편을 고려해 후순위로 미뤘다.

사용처 확대도 추진 중이다.

서울시는 3월 정식 출시에 맞춰 기존 프랜차이즈 가맹점 외에 편의점, 커피숍 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관련 업체들과 논의 중이다.

또한 3월에 구매자의 스마트폰 앱에 QR코드나 바코드를 생성해 스캔하는 방식을 추가로 도입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