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광장 3.7배 확대…시청까지 지하 연결하고 GTX역 신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차로 절반 없애 광장 1만9천㎡→6만9천㎡…이순신·세종대왕상 이전 추진
'촛불' 현대사 바닥에 반영…1만㎡ '지하도시' 조성해 5개 노선 지나는 대형역사도 추진 '세계에서 가장 큰 중앙분리대'라는 오명을 얻었던 광화문광장이 2021년까지 보행자 중심의 열린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세종문화회관 쪽 차로가 광장으로 편입돼 면적이 3.7배 늘어나고, 광화문에서 시청까지는 지하로 연결돼 도시철도 5개 노선을 품은 초대형 역이 생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1일 서울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CA조경기술사사무소' 등의 'Deep Surface'(딥 서피스·깊은 표면)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국제설계전 공모에서 당선됐다고 밝혔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의 목표는 광장의 ▲ 600년 '역사성' ▲ 3·1운동∼촛불혁명의 '시민성' ▲ 지상·지하를 잇는 '보행성'을 계승·회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당선작은 지상을 비우고 지하를 채우는 공간 구상으로 서울의 역사성을 지키고, 다양한 시민 활동을 품을 수 있게 했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공모 심사를 맡은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은 "서울, 대한민국의 중심 공간으로서 상징적 가치를 가장 잘 노출했다"고 선정 배경을 밝혔다. 새 광화문광장의 가장 큰 변화는 정부종합청사 쪽 도로가 사라지고 모두 광장으로 편입돼 광장 규모가 1만9천㎡에서 6만9천㎡로 확대되는 점이다.
이를 통해 경복궁 전면에 3만6천㎡ 규모 '역사광장', 역사광장 남측에 2만4천㎡ 규모 시민광장을 새로 조성하고 기존 질서 없는 구조물을 정리한다.
광장 폭은 60m로 기존보다 3배 가까이 넓어진다.
광화문 '터줏대감'인 이순신장군상은 옛 삼군부 터인 정부종합청사 옆으로, 세종대왕상은 세종문화회관 옆으로 이전을 추진한다.
광장 어디서든 경복궁과 북악산 전경을 막힘없이 볼 수 있게 하려는 목적이다.
다만 공모전 심사 과정에서 이순신장군상 이전은 역사성을 고려해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박 시장은 "(이순신장군상·세종대왕상 이전은) 연말까지 공론 과정을 거쳐서 충분히 시민 의견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광화문광장이 100년 전 3·1운동에서부터 민주화 항쟁, 촛불집회까지 민주주의 역사의 주요 무대가 된 점도 설계에 반영된다.
진양교 CA조경기술사사무소 대표는 "광장 자체로 시민 의견이 표현될 수 있는 장소를 만든 의미가 있고, 촛불 이미지를 상징하는 내용이 지상광장 바닥 패턴으로 들어갈 것"이라며 "작지만 현대사의 의미도 담으려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정부종합청사 별관 앞 세종로공원 부지에도 클래식 콘서트홀을 건립하고, 광장변 건물 앞에도 테라스, 바닥분수, 미니공원 등을 조성한다.
광장과 건물 사이와 건물 옥상 등에도 다양한 나무를 심어 북악산∼경복궁∼광화문의 도심 녹지 축을 만들 계획이다. 지상과 지하는 계단식·개방형의 성큰(sunken)공간으로 연결되며 단차를 이용한 테라스 정원이 꾸며진다.
지하에는 서울시청까지 350m를 연결해 1만㎡ 규모의 '지하도시'를 조성한다.
콘서트, 전시회 등이 연중 열리는 휴식, 문화, 교육, 체험 시설을 설치한다는 구상이다.
광화문에서 동대문까지 약 4㎞의 지하 보행로도 완성된다.
특히 서울시는 시청까지 이어지는 지하 공간을 활용해 현재 동아일보 자리 인근에 GTX-A(파주 운정∼서울∼화성 동탄) 광화문 복합역사 신설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하철 5호선 광화문, 1·2호선 시청, GTX-A는 물론 노선·선로를 공유하는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선(용산∼고양 삼송)까지 총 5개 노선을 품는 초대형 역이다.
박 시장은 "강남·북 균형발전을 앞당기는 결정적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이와 함께 일제강점기 때 훼손됐던 월대(月臺·궁전 건물 앞에 놓는 넓은 단)와 현재 흔적을 찾을 수 없는 '의정부'터 복원을 추진한다.
또 연말까지 '세종로 지구단위계획'을 정비해 북촌, 서촌, 사직동, 정동, 청계천 등 그물망처럼 연결된 도심 보행 공간을 광화문을 중심으로 재편한다.
광화문 재구조화 사업에는 서울시 예산 669억원, 문화재청 예산 371억원 등 총 1천40억원이 투입되며 2021년 5월 완공 목표다.
이번 공모에는 국내외 70개 팀이 참여했으며 당선작은 심사위원들의 만장일치로 선정됐다고 서울시는 전했다.
/연합뉴스
'촛불' 현대사 바닥에 반영…1만㎡ '지하도시' 조성해 5개 노선 지나는 대형역사도 추진 '세계에서 가장 큰 중앙분리대'라는 오명을 얻었던 광화문광장이 2021년까지 보행자 중심의 열린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세종문화회관 쪽 차로가 광장으로 편입돼 면적이 3.7배 늘어나고, 광화문에서 시청까지는 지하로 연결돼 도시철도 5개 노선을 품은 초대형 역이 생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1일 서울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CA조경기술사사무소' 등의 'Deep Surface'(딥 서피스·깊은 표면)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국제설계전 공모에서 당선됐다고 밝혔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의 목표는 광장의 ▲ 600년 '역사성' ▲ 3·1운동∼촛불혁명의 '시민성' ▲ 지상·지하를 잇는 '보행성'을 계승·회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당선작은 지상을 비우고 지하를 채우는 공간 구상으로 서울의 역사성을 지키고, 다양한 시민 활동을 품을 수 있게 했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공모 심사를 맡은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은 "서울, 대한민국의 중심 공간으로서 상징적 가치를 가장 잘 노출했다"고 선정 배경을 밝혔다. 새 광화문광장의 가장 큰 변화는 정부종합청사 쪽 도로가 사라지고 모두 광장으로 편입돼 광장 규모가 1만9천㎡에서 6만9천㎡로 확대되는 점이다.
이를 통해 경복궁 전면에 3만6천㎡ 규모 '역사광장', 역사광장 남측에 2만4천㎡ 규모 시민광장을 새로 조성하고 기존 질서 없는 구조물을 정리한다.
광장 폭은 60m로 기존보다 3배 가까이 넓어진다.
광화문 '터줏대감'인 이순신장군상은 옛 삼군부 터인 정부종합청사 옆으로, 세종대왕상은 세종문화회관 옆으로 이전을 추진한다.
광장 어디서든 경복궁과 북악산 전경을 막힘없이 볼 수 있게 하려는 목적이다.
다만 공모전 심사 과정에서 이순신장군상 이전은 역사성을 고려해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박 시장은 "(이순신장군상·세종대왕상 이전은) 연말까지 공론 과정을 거쳐서 충분히 시민 의견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광화문광장이 100년 전 3·1운동에서부터 민주화 항쟁, 촛불집회까지 민주주의 역사의 주요 무대가 된 점도 설계에 반영된다.
진양교 CA조경기술사사무소 대표는 "광장 자체로 시민 의견이 표현될 수 있는 장소를 만든 의미가 있고, 촛불 이미지를 상징하는 내용이 지상광장 바닥 패턴으로 들어갈 것"이라며 "작지만 현대사의 의미도 담으려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정부종합청사 별관 앞 세종로공원 부지에도 클래식 콘서트홀을 건립하고, 광장변 건물 앞에도 테라스, 바닥분수, 미니공원 등을 조성한다.
광장과 건물 사이와 건물 옥상 등에도 다양한 나무를 심어 북악산∼경복궁∼광화문의 도심 녹지 축을 만들 계획이다. 지상과 지하는 계단식·개방형의 성큰(sunken)공간으로 연결되며 단차를 이용한 테라스 정원이 꾸며진다.
지하에는 서울시청까지 350m를 연결해 1만㎡ 규모의 '지하도시'를 조성한다.
콘서트, 전시회 등이 연중 열리는 휴식, 문화, 교육, 체험 시설을 설치한다는 구상이다.
광화문에서 동대문까지 약 4㎞의 지하 보행로도 완성된다.
특히 서울시는 시청까지 이어지는 지하 공간을 활용해 현재 동아일보 자리 인근에 GTX-A(파주 운정∼서울∼화성 동탄) 광화문 복합역사 신설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하철 5호선 광화문, 1·2호선 시청, GTX-A는 물론 노선·선로를 공유하는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선(용산∼고양 삼송)까지 총 5개 노선을 품는 초대형 역이다.
박 시장은 "강남·북 균형발전을 앞당기는 결정적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이와 함께 일제강점기 때 훼손됐던 월대(月臺·궁전 건물 앞에 놓는 넓은 단)와 현재 흔적을 찾을 수 없는 '의정부'터 복원을 추진한다.
또 연말까지 '세종로 지구단위계획'을 정비해 북촌, 서촌, 사직동, 정동, 청계천 등 그물망처럼 연결된 도심 보행 공간을 광화문을 중심으로 재편한다.
광화문 재구조화 사업에는 서울시 예산 669억원, 문화재청 예산 371억원 등 총 1천40억원이 투입되며 2021년 5월 완공 목표다.
이번 공모에는 국내외 70개 팀이 참여했으며 당선작은 심사위원들의 만장일치로 선정됐다고 서울시는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