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신탁도 저울질…저축은행은 아주캐피탈 인수로

우리금융그룹이 비(非)은행 부문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기 위해 바쁜 걸음을 내디디고 있다.

올 상반기 중이라도 인수·합병(M&A)을 추진할 태세다.

첫 분야는 자산운용사가 될 전망이다.

우리금융 고위 관계자는 24일 "지금 진행 속도로 보면 자산운용사 M&A가 첫번째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자산운용사는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이 올해 추진할 M&A 분야로 꼽은 세 분야 중 하나다.

나머지 분야는 부동산신탁사, 저축은행이다.

현재 시장에서는 우리금융의 M&A 대상으로 동양자산운용, ABL글로벌자산운용, 하이자산운용 등이 거론되고 있다.

동양자산운용과 ABL글로벌자산운용은 중국 안방보험 소속 회사다.

동양자산운용은 동양생명이 지분의 73%, 유안타증권이 27%를 갖고 있다.

ABL글로벌자산운용은 안방자산관리유한회사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하이자산운용은 하이투자증권 자회사로, 하이투자증권이 지난해 9월 DGB금융의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DGB금융의 손자회사가 됐다.

우리금융은 우리프라이빗에퀴티자산운용(이하 우리PE)이라는 자회사가 있지만 주로 전문사모집합투자업을 하고 있어 종합자산운용사라고 보기는 어렵다.

우리금융이 지주사로 전환하기 전부터 자산운용 분야 M&A를 검토하고 있어 올 상반기 중으로 주식매매계약(SPA)이 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금융, M&A 속도 낸다…상반기 중 자산운용사 인수 추진
부동산신탁 분야도 조만간 우리금융이 진출할 곳이다.

현재 국제자산신탁 인수를 유력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자산신탁은 유재은 회장이 지분 55.73%, 자녀인 유재영 전무가 10.00%로 오너 일가가 65.73% 보유하고 있다.

자사주가 24.13%고, 우리은행이 6.54% 들고 있기도 하다.

국제자산신탁은 지난해 3분기말 기준 총자산이 1천43억원, 누적 당기순이익이 237억원이다.

신한금융이 지난해 인수한 아시아신탁이 총자산 1천333억원, 당기순이익은 186억원인 것과 비교하면 얼추 비슷한 규모다.

현재 국제자산신탁의 지분 50%를 1천∼1천100억원에 인수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부동산신탁사를 인수해 은행의 신탁사업단과 연계하면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날 것으로 우리금융은 보고 있다.

남은 저축은행 분야는 아주캐피탈 인수로 해결할 전망이다.

우리은행은 사모펀드(PEF)인 웰투시제3호사모투자합자회사를 통해 아주캐피탈의 지분 일부를 간접 보유하고 있고 아주캐피탈은 아주저축은행을 100% 자회사로 두고 있다.

웰투시제3호가 아주캐피탈 지분 74.03%를 인수할 때 우리은행이 웰투시에 1천억원 투자해 웰투시의 지분 50%를 확보했다.

나머지 지분에 대해 우리은행이 우선매수청구권을 가지고 있어 이 펀드가 올 7월 청산할 때 청구권을 행사하면 웰투시 지분을 온전히 다 가질 수 있다.

아주캐피탈은 한때 현대캐피탈 다음의 2위권 업체였으나 현재 중위권 수준에 있다.

하지만 지배주주 지분 기준 당기순이익이 2016년 489억원, 2017년 520억원에서 지난해 781억원(추정치)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꾸준한 이익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금융은 아주캐피탈을 인수할 방침이지만 당장 7월에 청구권을 행사할지는 우리금융의 자회사 편입 일정에 달렸다.

우리금융은 올 상반기 내에 우리카드와 우리종금을 자회사로 편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여기에 상반기 중으로 자산운용사와 부동산신탁사를 사들일 수 있어 상반기 전후로 금융당국에 신청할 자회사 편입 승인 건수가 최대 4건이 된다.

아주캐피탈까지 인수하면 신청 건수가 최대 5건으로 늘어나 이를 검토해야 하는 당국에 부담이 될 수 있다.

아주캐피탈은 펀드 만기 때 청산하지 않고 만기를 연장할 수 있어 우리금융으로서 서둘러 인수할 이유가 없다.

아주캐피탈 인수가 후순위로 밀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최적의 경쟁력 있는 사업포트폴리오 구축을 목표로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M&A를 검토하고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