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전문가 "북, 2차 회담에서 발전용 원전 요구할 수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다음 달로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2차 정상회담에서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원전건설을 요구할 수 있을 것으로 미 전문가가 내다봤다.
비핵화, 군축전문가인 김두연 신(新)미국안보센터(CNAS) 연구원은 23일 미국핵과학자협회(BAS) 기고에서 2차 정상회담의 쟁점 가운데 하나가 '핵에너지'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이처럼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는 비핵화에 핵에너지 프로그램도 포함하길 원하고 있으나 북한으로선 김정은이 신년사에서 핵에너지가 중요한 전력자원임을 천명한 만큼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북한은 과거 사례에 비춰 미국에 새로운 원전건설을 요구할 수 있으며 러시아나 중국, 또는 한국에 대해 원전건설을 요구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1994년 제네바 미북 합의에 따라 핵 동결을 조건으로 북한에 경수로 건설을 제공키로 했으나 2003년 이른바 제2차 핵위기로 경수로 공사가 중단된 바 있다.
김 연구원은 그러나 북한이 다시금 원전건설을 요구하려면 핵무기의 완전 포기와 핵확산금지조약(NPT) 복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전면적인 세이프가드 수용 등의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또 2차 정상회담과 관련, 미국은 비핵화를 북한에 설득하는 큰 그림을 갖고 있으나 북한으로선 목표가 보다 복잡하다면서 북한은 평화체제와 한반도의 적화통일, 그리고 북한만이 아닌 한반도의 비핵화라는 3가지 목표를 추진해 나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미북 양측이 비핵화 정의에 대해 전혀 합의한 적이 없음을 지적하면서 북한은 미 전략자산과 핵 가능 무기, 한국과 인접 지역 주둔 미군, 그리고 전반적으로 한미동맹의 종식 등도 비핵화에 포함하고 있다면서 북한은 비핵화 논의에서 반드시 이를 거론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김정은의 신년 초 중국 방문을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커지는 것보다는 평화조약 협상 등을 앞두고 같은 전략적 이해를 가진 중국과 결속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했다.
그는 평화조약 협상은 미군 철수를 직접 요구하지 않으면서 한반도에서 미군을 제거하는 요령 있는 방안이 될 것이며 중국도 같은 이해를 갖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는 현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2차 회담에서 비핵화를 향한 포괄적인 로드맵을 협상하는 것이라면서 미국은 로드맵 없이 미사일이나 미사일 시설, 시험장 또는 영변 핵 단지 등과 같은 상징적인 제의를 기반으로 하는 단편적인 협상을 피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비핵화, 군축전문가인 김두연 신(新)미국안보센터(CNAS) 연구원은 23일 미국핵과학자협회(BAS) 기고에서 2차 정상회담의 쟁점 가운데 하나가 '핵에너지'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이처럼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는 비핵화에 핵에너지 프로그램도 포함하길 원하고 있으나 북한으로선 김정은이 신년사에서 핵에너지가 중요한 전력자원임을 천명한 만큼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북한은 과거 사례에 비춰 미국에 새로운 원전건설을 요구할 수 있으며 러시아나 중국, 또는 한국에 대해 원전건설을 요구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1994년 제네바 미북 합의에 따라 핵 동결을 조건으로 북한에 경수로 건설을 제공키로 했으나 2003년 이른바 제2차 핵위기로 경수로 공사가 중단된 바 있다.
김 연구원은 그러나 북한이 다시금 원전건설을 요구하려면 핵무기의 완전 포기와 핵확산금지조약(NPT) 복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전면적인 세이프가드 수용 등의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또 2차 정상회담과 관련, 미국은 비핵화를 북한에 설득하는 큰 그림을 갖고 있으나 북한으로선 목표가 보다 복잡하다면서 북한은 평화체제와 한반도의 적화통일, 그리고 북한만이 아닌 한반도의 비핵화라는 3가지 목표를 추진해 나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미북 양측이 비핵화 정의에 대해 전혀 합의한 적이 없음을 지적하면서 북한은 미 전략자산과 핵 가능 무기, 한국과 인접 지역 주둔 미군, 그리고 전반적으로 한미동맹의 종식 등도 비핵화에 포함하고 있다면서 북한은 비핵화 논의에서 반드시 이를 거론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김정은의 신년 초 중국 방문을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커지는 것보다는 평화조약 협상 등을 앞두고 같은 전략적 이해를 가진 중국과 결속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했다.
그는 평화조약 협상은 미군 철수를 직접 요구하지 않으면서 한반도에서 미군을 제거하는 요령 있는 방안이 될 것이며 중국도 같은 이해를 갖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는 현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2차 회담에서 비핵화를 향한 포괄적인 로드맵을 협상하는 것이라면서 미국은 로드맵 없이 미사일이나 미사일 시설, 시험장 또는 영변 핵 단지 등과 같은 상징적인 제의를 기반으로 하는 단편적인 협상을 피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