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이 25일 문재인 대통령을 면담함에 따라 민주노총이 20년 만에 사회적 대화에 복귀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정기대의원대회를 사흘 앞둔 시점인 데다 문 대통령도 지속적으로 참여를 요청했기 때문이다.

25일 민주노총에 따르면 민주노총은 오는 28일 서울 화곡동 KBS아레나홀에서 ‘제67차 정기대의원대회’를 열고 6개의 안건을 논의한다. 이 중 핵심 안건은 경사노위 참여 건이다.

민주노총은 앞서 지난해 10월 경사노위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임시 대의원대회를 개최했지만 정족수 미달로 무산됐다. ‘절대 참여할 수 없다’는 내부 강경파의 반대가 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노총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사회적 대화기구인 노사정위원회에 참여했다가 이듬해인 1999년 2월 정부의 정리해고·파견근로제 도입 방침에 반발해 탈퇴했다. 이후 19년 만인 작년 1월 사회적 대화 기구 중 하나인 노사정대표자회의에 복귀했다. 하지만 5월 최저임금 산입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의 최저임금법 개정안에 반발하며 다시 불참을 선언했다.

작년 1월 취임한 김 위원장은 사회적 대화 복귀를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개혁 과제를) 교섭의 장에서 공론화하고 사회적으로 널리 알리면 이를 가로막는 게 누구인지 확인돼 투쟁은 더욱 명분을 얻고 결의도 강해질 것”이라며 “이를 통해 교섭력을 강화할 수 있고 ‘민주노총에 힘을 보태야 한다’는 여론으로 연대를 확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회적 대화에 복귀해 교섭을 공론화하면 자신들에게 우호적인 여론이 형성되고 요구사항을 관철하기가 더 쉬워질 것이라는 얘기다.

하지만 경사노위 참여에 반발하는 강경파가 적지 않아 이 안건이 통과될지는 불투명하다. 이번에도 참여가 무산되면 민주노총 지도부의 리더십이 타격을 받고 향후 사회적 대화 복귀 가능성은 더 낮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