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전통어로방식'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형과 조류, 물고기의 습성 등을 고려해 어구(漁具)를 설치·활용하는 ‘전통어로방식’이 국가무형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우리 어촌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대표적 전통 어업문화인 전통어로방식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한다고 29일 밝혔다.
고대로부터 기원한 전통어로방식은 고려·조선시대 문헌에 등장하는 ‘어량(魚梁)’에서 역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어량은 대나무 발(竹簾·죽렴)을 치거나 돌을 쌓아 썰물 때 물고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어구다. 서해안과 남해안 서쪽 지역에서는 ‘어살’로 부르기도 했다. 지금은 대나무 발을 ‘살’, 돌을 쌓은 것을 ‘독살’로 부르기도 한다.
조선 후기에는 방렴(防簾), 장살 등 발달된 어구가 등장했다. 방렴은 대나무 발을 고정하기 위해 나무 기둥 아래에 무거운 짐돌을 매단 어구이고, 장살은 고정한 나무 기둥 사이에 대나무 발 대신 그물을 설치한 도구다. 김홍도의 ‘단원풍속도첩’(보물 제572호)에 실린 ‘고기잡이’ 그림에는 상인들이 바다에 설치된 어살이 있는 곳으로 배를 타고 나가 물고기를 사는 장면이 묘사돼 있어 전통어로방식이 조선 후기까지 연안 어업의 대표적 방식이었음을 알 수 있다.
전통어로방식은 어선을 이용한 연근해 어업이 발달한 1970년대 이후 쇠퇴해 지금은 경남 남해 지족해협과 사천 마도·저도 등의 죽방렴 멸치잡이 등으로 전승되고 있다.
서화동 문화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
문화재청은 우리 어촌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대표적 전통 어업문화인 전통어로방식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한다고 29일 밝혔다.
고대로부터 기원한 전통어로방식은 고려·조선시대 문헌에 등장하는 ‘어량(魚梁)’에서 역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어량은 대나무 발(竹簾·죽렴)을 치거나 돌을 쌓아 썰물 때 물고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어구다. 서해안과 남해안 서쪽 지역에서는 ‘어살’로 부르기도 했다. 지금은 대나무 발을 ‘살’, 돌을 쌓은 것을 ‘독살’로 부르기도 한다.
조선 후기에는 방렴(防簾), 장살 등 발달된 어구가 등장했다. 방렴은 대나무 발을 고정하기 위해 나무 기둥 아래에 무거운 짐돌을 매단 어구이고, 장살은 고정한 나무 기둥 사이에 대나무 발 대신 그물을 설치한 도구다. 김홍도의 ‘단원풍속도첩’(보물 제572호)에 실린 ‘고기잡이’ 그림에는 상인들이 바다에 설치된 어살이 있는 곳으로 배를 타고 나가 물고기를 사는 장면이 묘사돼 있어 전통어로방식이 조선 후기까지 연안 어업의 대표적 방식이었음을 알 수 있다.
전통어로방식은 어선을 이용한 연근해 어업이 발달한 1970년대 이후 쇠퇴해 지금은 경남 남해 지족해협과 사천 마도·저도 등의 죽방렴 멸치잡이 등으로 전승되고 있다.
서화동 문화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