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직원이 성장 이끈다…'워라밸' 실천하는 기업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52시간 근무, 일하는 방식 바꾼다
불필요한 회의 없애고 보고 간결하게
출퇴근 시간 탄력적으로 조절 가능
휴가, 상사 결재없이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회의 없애고 보고 간결하게
출퇴근 시간 탄력적으로 조절 가능
휴가, 상사 결재없이 사용할 수 있어
“조직의 생각하는 방식, 일하는 방식에서도 변화와 혁신을 추진하겠습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총괄수석부회장)
“회사의 제도 기준을 관리에서 행복으로 바꿔야 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기업들이 일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다.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이 주원인이다. 줄어든 업무시간에 맞춰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다. 불필요한 회의는 없애고, 보고는 핵심만 간결하게 전달한다. 회사의 지향점도 무조건적인 성과 대신 직원들의 행복으로 방향을 틀었다. 업무 만족도가 높아지면 자연스레 효율성이 올라가고 성과도 뒤따라온다는 판단이다.
출퇴근 시간은 개개인이 직접 설계
SK텔레콤은 임직원 개개인이 근무시간을 직접 설계하는 ‘디자인 유어 워크 앤 타임’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출근시간은 기본적으로 오전 9시지만 본인의 업무 환경과 자기계발 등 개인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마감 등의 업무로 매월 마지막 주 업무량이 많은 직원들은 이를 근무계획에 미리 반영해 그 전주는 30시간, 해당 주는 50시간으로 나눠 일할 수 있다.
LG전자도 ‘플렉서블 출퇴근제’를 실시하고 있다. 8세 이하 자녀를 둔 임직원은 자녀의 일정에 맞춰 오전 7시부터 10시까지 30분 단위로 출근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병원 진료 등 부득이한 개인 사정으로 출퇴근시간 조정이 필요한 구성원도 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7월부터 연구개발(R&D) 및 사무직을 대상으로 ‘선택적 근로제’와 ‘재량 근로제’를 실시했다. 선택적 근로시간제는 월평균 주 40시간 내에서 출퇴근 시간과 근로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제도다.
‘일할 땐 일하고 쉴 때는 쉬는’ 문화
복잡한 절차를 거쳐 눈치 보며 휴가를 떠나던 문화도 뜯어고쳤다. SK이노베이션은 팀장 결재 없이 ‘본인 기안 후 본인 승인’ 절차를 통해 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휴가 신고제’를 도입했다. 구성원이 직접 자신의 휴가 사용을 승인하면, 그에 대한 알림 메일이 소속 팀의 팀장과 유관 부서 팀원들에게 전달된다. SK텔레콤도 ‘휴가 셀프 승인’ 제도를 통해 구성원 본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자유롭게 휴가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LG전자는 다양한 휴가 제도를 통해 임직원들이 편하게 쉴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한다. 안식휴가 제도는 회사가 제공하는 유급휴가에 본인 연차를 붙여 최소 2주, 최장 5주간 쉴 수 있는 제도다. 충분한 휴식을 통해 업무 효율을 제고하면서 개인 역량을 계발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한 목적이다.
‘똑똑하게’ 일하는 기업들
일하는 방식도 ‘똑똑하게’ 바꿨다. 현대차는 ‘문서 자산화’를 통해 업무 시 만들어지는 모든 문서를 회사 중앙서버에 저장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전사의 지식을 자산화하는 동시에 팀원 간 또는 팀 간 협업 프로세스를 체계화하기 위해서다. 업무 생산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보고 방식도 바꿨다. 핵심내용만 간결하게 보고서로 작성하고, 전산을 통해 결재받는 방식이다.
삼성전자는 2016년 시대 흐름에 맞지 않는 사고방식과 관행을 떨쳐내기 위해 ‘스타트업 삼성 컬처혁신’을 선언했다. 기존 연공주의 중심 인사제도를 업무와 전문성을 중시하는 ‘직무·역할 중심’으로 개편해 직급단계를 7단계에서 4단계로 단순화했다. 회의는 △참석자 최소화 △1시간 이내 종료 △전원 발언 △결론 도출 △결론 준수 등 기본원칙을 가능한 한 지켜나가고 있다. 보고도 직급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보고 방식 대신 ‘동시 보고’를 활성화하고, 간결하게 핵심 내용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
“회사의 제도 기준을 관리에서 행복으로 바꿔야 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기업들이 일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다.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이 주원인이다. 줄어든 업무시간에 맞춰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다. 불필요한 회의는 없애고, 보고는 핵심만 간결하게 전달한다. 회사의 지향점도 무조건적인 성과 대신 직원들의 행복으로 방향을 틀었다. 업무 만족도가 높아지면 자연스레 효율성이 올라가고 성과도 뒤따라온다는 판단이다.
출퇴근 시간은 개개인이 직접 설계
SK텔레콤은 임직원 개개인이 근무시간을 직접 설계하는 ‘디자인 유어 워크 앤 타임’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출근시간은 기본적으로 오전 9시지만 본인의 업무 환경과 자기계발 등 개인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마감 등의 업무로 매월 마지막 주 업무량이 많은 직원들은 이를 근무계획에 미리 반영해 그 전주는 30시간, 해당 주는 50시간으로 나눠 일할 수 있다.
LG전자도 ‘플렉서블 출퇴근제’를 실시하고 있다. 8세 이하 자녀를 둔 임직원은 자녀의 일정에 맞춰 오전 7시부터 10시까지 30분 단위로 출근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병원 진료 등 부득이한 개인 사정으로 출퇴근시간 조정이 필요한 구성원도 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7월부터 연구개발(R&D) 및 사무직을 대상으로 ‘선택적 근로제’와 ‘재량 근로제’를 실시했다. 선택적 근로시간제는 월평균 주 40시간 내에서 출퇴근 시간과 근로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제도다.
‘일할 땐 일하고 쉴 때는 쉬는’ 문화
복잡한 절차를 거쳐 눈치 보며 휴가를 떠나던 문화도 뜯어고쳤다. SK이노베이션은 팀장 결재 없이 ‘본인 기안 후 본인 승인’ 절차를 통해 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휴가 신고제’를 도입했다. 구성원이 직접 자신의 휴가 사용을 승인하면, 그에 대한 알림 메일이 소속 팀의 팀장과 유관 부서 팀원들에게 전달된다. SK텔레콤도 ‘휴가 셀프 승인’ 제도를 통해 구성원 본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자유롭게 휴가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LG전자는 다양한 휴가 제도를 통해 임직원들이 편하게 쉴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한다. 안식휴가 제도는 회사가 제공하는 유급휴가에 본인 연차를 붙여 최소 2주, 최장 5주간 쉴 수 있는 제도다. 충분한 휴식을 통해 업무 효율을 제고하면서 개인 역량을 계발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한 목적이다.
‘똑똑하게’ 일하는 기업들
일하는 방식도 ‘똑똑하게’ 바꿨다. 현대차는 ‘문서 자산화’를 통해 업무 시 만들어지는 모든 문서를 회사 중앙서버에 저장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전사의 지식을 자산화하는 동시에 팀원 간 또는 팀 간 협업 프로세스를 체계화하기 위해서다. 업무 생산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보고 방식도 바꿨다. 핵심내용만 간결하게 보고서로 작성하고, 전산을 통해 결재받는 방식이다.
삼성전자는 2016년 시대 흐름에 맞지 않는 사고방식과 관행을 떨쳐내기 위해 ‘스타트업 삼성 컬처혁신’을 선언했다. 기존 연공주의 중심 인사제도를 업무와 전문성을 중시하는 ‘직무·역할 중심’으로 개편해 직급단계를 7단계에서 4단계로 단순화했다. 회의는 △참석자 최소화 △1시간 이내 종료 △전원 발언 △결론 도출 △결론 준수 등 기본원칙을 가능한 한 지켜나가고 있다. 보고도 직급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보고 방식 대신 ‘동시 보고’를 활성화하고, 간결하게 핵심 내용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