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기관 주총 반대율 2배로 상승
"거수기는 그만" 기관투자자 주총 반대율 높아진다
스튜어드십 코드(수탁자책임 원칙)를 도입한 기관투자자들의 주주총회 안건 반대율이 종전의 2배 수준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민연금도 스튜어드십 코드를 채택한 가운데 오는 3월 정기 주총 시즌 때 기관투자자들의 적극적인 의결권 행사가 예상된다.

7일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의결권 정보광장 포털(vip.cgs.or.kr) 등을 보면 2017년 코스피 상장사에 대한 의결권 행사 정보가 이 포털에서 제시된 기관투자자 105곳 중 6곳이 2018년 주총 전에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했다.

이들 6곳이 지난해 주총에서 경영진에 의해 제안된 의결 안건에 대해 반대표를 던진 비율(이하 반대율)은 평균 10.55%로,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전인 2017년 주총 반대율(5.90%)의 2배에 육박했다.

특히 6곳의 기관투자자 중 5곳의 반대율이 높아졌다.

기관별로 보면 메리츠자산운용의 반대율은 2017년 주총 때 19.41%에서 2018년 26.07%로 높아졌다.

KB자산운용은 2017년 3.92%에서 2018년 8.12%로, 동양자산운용은 2017년 1.32%에서 2018년 10.54%로 각각 뛰어올랐다.

또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은 2017년 반대율이 0%였으나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후인 2018년에는 8.42%로 치솟았다.

그동안 기관투자자들은 대체로 주총에 소극적으로 참여했다.

실제로 기업지배구조원이 의결권 행사내역을 파악한 기관투자자 105곳이 2017년 주총 때 경영진에 의해 제안된 의결 안건에 대해 반대표를 던진 비율은 평균 1.91%에 불과했다.

105곳 가운데 65곳은 어떤 안건에도 반대하지 않아 반대율이 0%였다.

사실상 '거수기'나 다름없던 셈이다.

이처럼 비정상적인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관행을 정상화하기 위한 제도가 2016년 12월 도입된 스튜어드십 코드다.

그러나 스튜어드십 코드는 법적인 강제 조항에 의한 게 아니라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제도 특성상 제도 도입 이후에도 한동안 답보 상태에 있었다.

그러다가 서서히 확산되면서 현재까지 스튜어드십 코드 참여를 공표한 기관투자자는 79곳으로 늘어났다.

또 참여 계획서를 기업지배구조원에 제출해 스튜어드십 코드 참여 예정 기관투자자로 등록된 기관도 35곳 있다.

특히 국내 최대 기관투자자인 국민연금이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해 작년 10월 수탁자책임전문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스튜어드십 코드 운영체제를 갖춰가면서 올해부터 국내 증시에서 스튜어드십 코드의 영향력이 본격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기업지배구조원 관계자는 "2017년 전까지는 주총 반대율 변화가 미미했으나 이후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한 기관들의 경우에는 반대율이 유의미한 수준의 변화를 보인다"며 "올해 주총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