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경제연구소에 "부정적 측면만 강조하면 경제심리 위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부-연구소, 제조업 경쟁력 강화안 모색 "질적 고도화 돌아봐야"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주력산업 부진과 수출 여건 악화로 어려움을 겪는 제조업을 활성화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국내 주요 경제연구소와 머리를 맞댔다.
산업부는 7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주요 경제연구기관장 간담회'를 열어 대외 경제 리스크를 분석하고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정책의 역할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산업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등 3개 국책 경제연구기관과 현대경제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 LG경제연구원, 포스코경영연구원, SK경영경제연구소 등 5개 민간경제연구소의 연구원장이 참석했다.
성윤모 장관은 "최근의 어려운 수출 상황은 미중 무역분쟁, 글로벌 경기 둔화, 국제 유가 하락 등 대외요인이 작용한 측면이 크지만, 그간 제조업이 양적 성장에 치중해 상대적으로 질적 고도화에 부족한 부분은 없었는지 다시 한번 되돌아보아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성 장관은 "정부도 제조업 상황을 엄중히 보고 있지만, 지나치게 부정적인 면만을 강조해 경제 심리를 위축시키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면서 "포트폴리오와 생산구조 측면에서 세계적인 제조업 기반을 보유하고 혁신 역량도 우수한 만큼 우리의 강점과 잠재력을 바탕으로 산업구조 고도화와 체질 개선에 매진하자"고 당부했다.
성 장관은 이달 중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출활력 제고방안'을 마련하고, 민간의 대규모 투자사업을 시작부터 끝까지 일괄 지원하는 '민관 합동 투자지원단'을 출범한다고 밝혔다.
이미 발표한 제조업 혁신전략의 후속조치로 광주형 일자리를 전국으로 확산하기 위한 '상생형 일자리 지원시스템'을 준비하고 있으며, 오는 4월에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참석자들은 민관이 역량을 결집해 산업의 질적 고도화와 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제조업 활력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산업정책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재영 대외경제연구원장은 통상분쟁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신남방·신북방 정책을 활용한 수출시장 다변화, 미중 통상분쟁의 기회 요인 활용,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에 대한 대응전략 수립, 세계무역기구(WTO) 개혁 작업 동참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장지상 산업연구원장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제품 포트폴리오의 고부가가치화, 소재·부품 경쟁력 강화, 스마트공장과 장비산업 육성의 연계, 신산업 생태계 강화, 제조 연관 서비스의 발전 등을 제안했다.
/연합뉴스
산업부는 7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주요 경제연구기관장 간담회'를 열어 대외 경제 리스크를 분석하고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정책의 역할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산업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등 3개 국책 경제연구기관과 현대경제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 LG경제연구원, 포스코경영연구원, SK경영경제연구소 등 5개 민간경제연구소의 연구원장이 참석했다.
성윤모 장관은 "최근의 어려운 수출 상황은 미중 무역분쟁, 글로벌 경기 둔화, 국제 유가 하락 등 대외요인이 작용한 측면이 크지만, 그간 제조업이 양적 성장에 치중해 상대적으로 질적 고도화에 부족한 부분은 없었는지 다시 한번 되돌아보아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성 장관은 "정부도 제조업 상황을 엄중히 보고 있지만, 지나치게 부정적인 면만을 강조해 경제 심리를 위축시키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면서 "포트폴리오와 생산구조 측면에서 세계적인 제조업 기반을 보유하고 혁신 역량도 우수한 만큼 우리의 강점과 잠재력을 바탕으로 산업구조 고도화와 체질 개선에 매진하자"고 당부했다.
성 장관은 이달 중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출활력 제고방안'을 마련하고, 민간의 대규모 투자사업을 시작부터 끝까지 일괄 지원하는 '민관 합동 투자지원단'을 출범한다고 밝혔다.
이미 발표한 제조업 혁신전략의 후속조치로 광주형 일자리를 전국으로 확산하기 위한 '상생형 일자리 지원시스템'을 준비하고 있으며, 오는 4월에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참석자들은 민관이 역량을 결집해 산업의 질적 고도화와 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제조업 활력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산업정책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재영 대외경제연구원장은 통상분쟁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신남방·신북방 정책을 활용한 수출시장 다변화, 미중 통상분쟁의 기회 요인 활용,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에 대한 대응전략 수립, 세계무역기구(WTO) 개혁 작업 동참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장지상 산업연구원장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제품 포트폴리오의 고부가가치화, 소재·부품 경쟁력 강화, 스마트공장과 장비산업 육성의 연계, 신산업 생태계 강화, 제조 연관 서비스의 발전 등을 제안했다.
/연합뉴스